학술논문
어머니와 청소년 자녀의 스마트폰 과의존, 삶의 만족도, 자녀의 학업 무기력 간의 관계: 자기-상대방 상호의존모형(APIM)의 적용
이용수 6
- 영문명
- Smartphone Overdependence, Life Satisfaction, and Academic Helplessness in Mothers and Adolescents: An Acter-Partner Interdependence Model Approach
- 발행기관
- 인지발달중재학회
- 저자명
- 권다영
- 간행물 정보
- 『인지발달중재학회지』제16권 제3호, 107~122쪽, 전체 1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심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9.30
4,7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연구목적: 이 연구의 목적은 어머니와 자녀의 스마트폰 과의존이 그들의 삶의 만족도를 매개로 청소년의 학업 무기력에 미치는 영향과 변인 간 관계 내에서 행위자-상대자 효과를 탐색하는 것이다.
연구방법: 한국 아동․청소년패널조사 2018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KCYPS]) 5차년도 자료를 활용하여, 청소년 자녀와 아머니 2,106쌍을 대상으로 상호의존모형(APIM)을 적용해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어머니-자녀 스마트폰 과의존은 어머니-자녀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유의한 자기효과가 나타났으며, 어머니-자녀 스마트폰 과의존이 상대방의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상대방효과는 유의하지 않았다. 자기효과 간 크기 비교에서는 자녀의 스마트폰 과의존이 자녀의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자기효과가 어머니의 스마트폰 과의존이 어머니의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자기효과보다 더 크게 나타났다. 둘째, 자녀의 스마트폰 과의존이 자녀의 삶의 만족도를 매개하여 학업 무기력에 영향을 미치는 유의한 간접효과가 나타났다.
논의 및 결론: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청소년의 학업 무기력을 방지하기 위한 교육 및 상담의 시사점을 논하였으며, 이 연구의 제한점과 향후 연구 방향도 제언하였다.
영문 초록
Objective: The study explored the effects of mothers and their adolescent children’s smartphone overdependence on adolescents’ academic helplessness, mediated by their respective life satisfaction, and
sought to examine actor-partner effects among these variables.
Methods: Data were drawn from the fifth wave of the 2018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KCYPS). A total of 2,106 mother-adolescent dyads were analyzed using the actor-partner interdependence model.
Results: Significant actor effects were found, indicating that both mothers and adolescents’ smartphone overdependence negatively affected their own life satisfaction. However, no significant partner effects were found on each other’s life satisfaction. Comparison of the magnitude of actor effects revealed that the negative effect of adolescents’ smartphone overdependence on their own life satisfaction was greater than that of mothers. Furthermore, a significant indirect effect was observed, whereby adolescents’ smartphone overdependence influenced their academic helplessness through life satisfaction.
Conclusion: These findings provide implications for educational and counseling interventions to prevent academic helplessness among adolescents. Limitations of the study and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suggested.
목차
서 론
연구방법
결 과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DECA-P2 한국어판 유아 회복탄력성 척도의 타당도 검증
- 유아기 자녀를 둔 아버지의 강점척도 개발방향 및 구성요인 탐색
- 유아기 어머니 학력과 학령기 언어유추추론의 관계: 수용어휘와 인지적 통제의 순차적 매개효과
- 가정 내 혼란과 부부갈등이 학령 초기 아동의 실행기능에 미치는 영향: 아동 불안의 매개효과
- 어머니와 청소년 자녀의 스마트폰 과의존, 삶의 만족도, 자녀의 학업 무기력 간의 관계: 자기-상대방 상호의존모형(APIM)의 적용
- 어머니의 과보호적 양육태도와 초기 청소년의 사회불안 간의 관계에서 기본심리욕구 만족과 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의 조절된 매개효과
-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의 심리적 통제가 사회불안에 미치는 영향: 정서표현억제의 매개효과
- 청소년의 팬덤활동 유형에 따른 잠재집단 분류와 예측요인 분석
- 팬데믹을 경험한 후기 청소년의 대인관계능력 향상을 위한 해결중심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검증
- 대학생의 아동기 외상이 사회적 위축에 미치는 영향: 비합리적 신념의 병렬 매개 효과
- 대학생의 경험․협력․탐구학습 수준 차이 분석: I대학교 IU-EXCEL 교육모델을 중심으로
- Q방법론을 활용한 보육교사 성인학습자의 대학 학습경험에 대한 인식유형 연구
- 교사소진 회복자원으로서의 마음챙김과 성장마인드셋에 대한 탐색적 연구
- 협력적 소통 역량 함양을 위한 블렌디드 PBL 교실 실행 연구
- 중장년층 디지털스트레스 척도 개발 및 타당화
- 상실을 경험한 노인들의 의도적 반추와 외상 후 성장, 자아초월 및 노년초월의 관계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심리학분야 NEW
- 발달장애 청년 자녀를 둔 부모가 지각하는 행복 : Q 방법론적 접근
- 산재 후 니트(NEET) 집단의 심리‧사회적 특성과 재활서비스 욕구에 따른 잠재프로파일 분석
- 주의력 부족과 인터넷 게임 중독의 관계: 인터넷 게임 동기의 매개효과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