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유아기 어머니 학력과 학령기 언어유추추론의 관계: 수용어휘와 인지적 통제의 순차적 매개효과
이용수 6
- 영문명
- Maternal Education and Children’s Verbal Analogy: The Sequential Mediating Effect of Receptive Vocabulary and Cognitive Control
- 발행기관
- 인지발달중재학회
- 저자명
- 정진나
- 간행물 정보
- 『인지발달중재학회지』제16권 제3호, 45~64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심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9.30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연구목적: 본 연구는 아동이 유아기에서 학령기로 전환하는 동안 초기의 어머니 학력에 따른 이후 언어유추추론의 개인차가 나타나는 것과 관련된 기제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아동이 5세 무렵 어머니 학력(T1)이 8세의 언어유추추론(T3)에 미치는 영향에서 5세 수용어휘(T1) 및 7세 인지적 통제(T2)가 순차적 매개효과를 보이는지 살펴보았다.
연구방법: 한국아동패널 6차(2013년), 8차(2015년), 9차(2016년) 조사에 참여한 954가구의 자료를 사용하였다. 자료는 SPSS 27.0과 PROCESS macro v.4.2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결과는 아동 성별 및 가구소득의 효과를 통제하고도 어머니 학력(T1)이 아동의 언어유추추론(T3)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며, 이러한 영향을 아동의 수용어휘(T1)와 인지적 통제(T2)가 순차적으로 매개한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결론: 본 결과는 유아기 어머니 학력이 이후 아동의 유추추론 발달을 예측하는 주요 환경요인이며, 이러한 경로에서 아동의 초기 수용어휘와 인지적 통제가 서로 밀접한 발달적 관계를 통해 부분적으로 의미 있는 기여를 할 수 있다는 것을 제안한다. 결과가 주는 시사점을 학력이 낮은 어머니와 그 유아 자녀를 위한 조기 개입 측면에서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Objective: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whether the pathway from early maternal education to children’s later verbal analogical reasoning during the transition to primary school could be explained by the developmental relationship between receptive vocabulary and cognitive control.
Methods: The study analyzed data of 954 children aged 5-8 years old and their mothers from the 6th (2013, T1), 8th (2015, T2), and 9th (2016, T3) waves of the Panel Study on Korean Children, applying SPSS 27.0 and the PROCESS macro v.4.2 software.
Results: The results revealed that maternal education at T1 predicted children’s verbal analogical reasoning skills at T3, and this link was mediated sequentially by children’s receptive vocabulary at T1 and cognitive control at T2.
Conclusions: The findings suggest that early maternal education is an important predictor of analogical reasoning skills later in development, and such prediction can be explained, at least in part, by the relationship between receptive vocabulary and cognitive control. The implications were discussed for interventions for mothers with low education level and their young children.
목차
서 론
연구방법
결 과
논 의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DECA-P2 한국어판 유아 회복탄력성 척도의 타당도 검증
- 유아기 자녀를 둔 아버지의 강점척도 개발방향 및 구성요인 탐색
- 유아기 어머니 학력과 학령기 언어유추추론의 관계: 수용어휘와 인지적 통제의 순차적 매개효과
- 가정 내 혼란과 부부갈등이 학령 초기 아동의 실행기능에 미치는 영향: 아동 불안의 매개효과
- 어머니와 청소년 자녀의 스마트폰 과의존, 삶의 만족도, 자녀의 학업 무기력 간의 관계: 자기-상대방 상호의존모형(APIM)의 적용
- 어머니의 과보호적 양육태도와 초기 청소년의 사회불안 간의 관계에서 기본심리욕구 만족과 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의 조절된 매개효과
-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의 심리적 통제가 사회불안에 미치는 영향: 정서표현억제의 매개효과
- 청소년의 팬덤활동 유형에 따른 잠재집단 분류와 예측요인 분석
- 팬데믹을 경험한 후기 청소년의 대인관계능력 향상을 위한 해결중심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검증
- 대학생의 아동기 외상이 사회적 위축에 미치는 영향: 비합리적 신념의 병렬 매개 효과
- 대학생의 경험․협력․탐구학습 수준 차이 분석: I대학교 IU-EXCEL 교육모델을 중심으로
- Q방법론을 활용한 보육교사 성인학습자의 대학 학습경험에 대한 인식유형 연구
- 교사소진 회복자원으로서의 마음챙김과 성장마인드셋에 대한 탐색적 연구
- 협력적 소통 역량 함양을 위한 블렌디드 PBL 교실 실행 연구
- 중장년층 디지털스트레스 척도 개발 및 타당화
- 상실을 경험한 노인들의 의도적 반추와 외상 후 성장, 자아초월 및 노년초월의 관계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심리학분야 NEW
- 발달장애 청년 자녀를 둔 부모가 지각하는 행복 : Q 방법론적 접근
- 산재 후 니트(NEET) 집단의 심리‧사회적 특성과 재활서비스 욕구에 따른 잠재프로파일 분석
- 주의력 부족과 인터넷 게임 중독의 관계: 인터넷 게임 동기의 매개효과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