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유아기 자녀를 둔 아버지의 강점척도 개발방향 및 구성요인 탐색
이용수 3
- 영문명
- Identifying the Developmental Directions and Components of a Strength Scale for Fathers of Children in Early Childhood
- 발행기관
- 인지발달중재학회
- 저자명
- 홍성희
- 간행물 정보
- 『인지발달중재학회지』제16권 제3호, 23~44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심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9.30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연구목적: 본 연구는 강점기반 접근을 토대로 유아기 자녀를 둔 아버지의 강점척도 개발 방향과 구성요인을 탐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긍정심리, 유아교육, 부모교육 전문가 및 부모 등 총 8명을 대상으로 포커스그룹인터뷰를 2회 실시하였으며, 면담 내용은 주제분석 방법으로 범주화하고 의미를 해석하였다.
연구결과: 유아기 자녀를 둔 아버지의 강점은 개인 내 비교를 기준으로 하는 긍정적 양육역량이며, 돌봄․놀이․훈육․생활관리 등의 실제 양육 상황에서 동적으로 발휘되는 증진 가능한 자원으로 확인되었다. 아버지 강점은 관계적, 인지적, 의지적, 중용적, 사회적, 초월적 강점의 6가지 구성요인과 37개 하위 요소로 추출되었다. 강점척도 개발 방향에 대해 전문가들은 아버지가 자신의 강점을 발견하고 긍정적 양육자원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개인 내 강점을 객관적으로 평가하는 신뢰성 있고 타당한 도구로 개발되어야 한다고 제안하였다. 문항은 핵심 양육역량을 포괄하며, 자기보고식 Likert 5점 척도로 간결하고 명확하게 구성되어 아버지의 자기성찰과 역량 강화를 지원하고 양육지원 정책 및 프로그램 개발에 활용될 수 있어야 함을 강조하였다.
결론: 본 연구는 강점기반 접근을 토대로 유아기 자녀를 둔 아버지의 강점을 체계적으로 탐색하고 강점척도의 개발 방향과 구성요인을 도출함으로써, 향후 부모교육 및 육아지원 프로그램 개발 및 관련 분야의 연구에 유의미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Objective: This study aimed to explore the developmental directions and components of a strength scale for fathers of children in early childhood, grounded in a strength-based approach.
Methods: Two rounds of focus group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a total of eight participants, including experts in positive psychology,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parent education, as well as parents themselves. Interview data were categorized and interpreted using thematic analysis.
Results: Fathers’ strengths were identified as positive parenting competencies evaluated on the basis of intra-individual comparison and confirmed as developmental resources that can be enhanced and dynamically manifested in actual parenting situations such as caregiving, play, discipline, and daily management. Six dimensions of paternal strengths-relational, cognitive, volitional, temperance-related, social, and transcendental-were derived, along with 37 sub-factors. Regarding the development of the strength scale, experts suggested that it should be designed as a reliable and valid tool to objectively evaluate fathers’ intra-individual strengths, enabling them to discover and utilize their strengths as positive parenting resources. They further emphasized that the items should comprehensively cover core parenting competencies and be constructed in a concise and clear self-report format using a 5-point Likert scale.
Conclusions: This study, derived the developmental directions and dimensions of a strength scale for fathers of children in early childhood based on a strength-based approach, potentially contributing to future research as well as the development of parent education and childcare support programs.
목차
서 론
연구방법
연구결과
논 의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DECA-P2 한국어판 유아 회복탄력성 척도의 타당도 검증
- 유아기 자녀를 둔 아버지의 강점척도 개발방향 및 구성요인 탐색
- 유아기 어머니 학력과 학령기 언어유추추론의 관계: 수용어휘와 인지적 통제의 순차적 매개효과
- 가정 내 혼란과 부부갈등이 학령 초기 아동의 실행기능에 미치는 영향: 아동 불안의 매개효과
- 어머니와 청소년 자녀의 스마트폰 과의존, 삶의 만족도, 자녀의 학업 무기력 간의 관계: 자기-상대방 상호의존모형(APIM)의 적용
- 어머니의 과보호적 양육태도와 초기 청소년의 사회불안 간의 관계에서 기본심리욕구 만족과 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의 조절된 매개효과
-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의 심리적 통제가 사회불안에 미치는 영향: 정서표현억제의 매개효과
- 청소년의 팬덤활동 유형에 따른 잠재집단 분류와 예측요인 분석
- 팬데믹을 경험한 후기 청소년의 대인관계능력 향상을 위한 해결중심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검증
- 대학생의 아동기 외상이 사회적 위축에 미치는 영향: 비합리적 신념의 병렬 매개 효과
- 대학생의 경험․협력․탐구학습 수준 차이 분석: I대학교 IU-EXCEL 교육모델을 중심으로
- Q방법론을 활용한 보육교사 성인학습자의 대학 학습경험에 대한 인식유형 연구
- 교사소진 회복자원으로서의 마음챙김과 성장마인드셋에 대한 탐색적 연구
- 협력적 소통 역량 함양을 위한 블렌디드 PBL 교실 실행 연구
- 중장년층 디지털스트레스 척도 개발 및 타당화
- 상실을 경험한 노인들의 의도적 반추와 외상 후 성장, 자아초월 및 노년초월의 관계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심리학분야 NEW
- 발달장애 청년 자녀를 둔 부모가 지각하는 행복 : Q 방법론적 접근
- 산재 후 니트(NEET) 집단의 심리‧사회적 특성과 재활서비스 욕구에 따른 잠재프로파일 분석
- 주의력 부족과 인터넷 게임 중독의 관계: 인터넷 게임 동기의 매개효과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