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중장년층 디지털스트레스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이용수 6
- 영문명
-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Digital Stress Scale for Middle-Aged Adults
- 발행기관
- 인지발달중재학회
- 저자명
- 이운경 이상희
- 간행물 정보
- 『인지발달중재학회지』제16권 제3호, 283~303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심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9.30
5,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연구목적: 본 연구는 급변하는 첨단 기술 환경 속에서 중장년층의 디지털 적응을 돕기 위해 디지털스트레스 척도를 개발하고 그 타당성을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방법: 연구는 총 3단계로 진행되었다. 1단계에서는 문헌 검토, 심층 인터뷰, 개방형 설문을 통해 95개의 예비 문항을 도출하였다. 2단계에서는 중장년층 400명을 대상으로 예비조사를 실시하고, 탐색적 요인분석을 통해 33문항과 6개 요인을 추출하였다. 도출된 요인은 ‘디지털 수용회피’, ‘디지털 적응부담’, ‘디지털 정보홍수’, ‘디지털 보안염려’, ‘디지털 통제상실’, ‘디지털 관계문제’로 명명되었으며, 각 요인의 신뢰도 계수(Cronbach’s α)는 .87∼.93으로 양호한 수준이었다. 3단계에서는 중장년층 400명을 대상으로 본조사를 실시하여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6요인 모형의 적합성을 검증하였으며, 수렴타당도․변별타당도․준거타당도를 검토하였다.
연구결과: 최종적으로 개발된 중장년층 디지털스트레스 척도는 6개 요인, 33문항으로 구성되었으며, 적절한 요인구조와 충분한 타당성을 확보하였다.
결론: 본 연구는 중장년층을 위한 디지털스트레스 척도를 최초로 개발․타당화하여 이들의 디지털 적응을 이해하는 데 필요한 이론적 기반을 마련하였다. 또한 개발된 척도는 중장년층의 디지털 수용 과정에서 나타나는 심리적․사회적 특성을 반영하며, 향후 맞춤형 교육 프로그램과 정책적 지원 방안 수립에 활용될 수 있다. 더 나아가 세대 간 비교 연구나 다양한 생활 영역과의 연계를 통해 후속 연구의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Purpose: This study aimed to develop and validate a digital stress scale for middle-aged adults in order to support their adaptation to rapidly changing digital environments.
Methods: The research was conducted in three phases. In the first phase, 95 preliminary items were generated through a literature review, in-depth interviews, and open-ended surveys. In the second phase, a pilot survey was conducted with 400 middle-aged adult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identified 33 items across six factors: digital avoidance, digital adaptation burden, digital information overload, digital security concerns, loss of digital control, and digital relationship problems. The reliability coefficients (Cronbach’s α) for the six factors ranged from .87 to .93. In the third phase, a main survey was administered to another group of 400 participants,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as performed to verify the six-factor model. Convergent validity, discriminant validity, and criterion validity were also examined.
Results: The developed digital stress scale consisted of 33 items with six factors, and demonstrated a valid and reliable factor structure.
Conclusion: This study developed and validated the first digital stress scale for the middle-aged adults, offering a theoretical basis for understanding their digital adaptation. The scale reflects key psychological and social traits and can inform tailored education and policy. It also lays the groundwork for future research on generational differences and digital stress across life domains.
목차
서 론
연구 방법
연구 결과
논 의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DECA-P2 한국어판 유아 회복탄력성 척도의 타당도 검증
- 유아기 자녀를 둔 아버지의 강점척도 개발방향 및 구성요인 탐색
- 유아기 어머니 학력과 학령기 언어유추추론의 관계: 수용어휘와 인지적 통제의 순차적 매개효과
- 가정 내 혼란과 부부갈등이 학령 초기 아동의 실행기능에 미치는 영향: 아동 불안의 매개효과
- 어머니와 청소년 자녀의 스마트폰 과의존, 삶의 만족도, 자녀의 학업 무기력 간의 관계: 자기-상대방 상호의존모형(APIM)의 적용
- 어머니의 과보호적 양육태도와 초기 청소년의 사회불안 간의 관계에서 기본심리욕구 만족과 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의 조절된 매개효과
-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의 심리적 통제가 사회불안에 미치는 영향: 정서표현억제의 매개효과
- 청소년의 팬덤활동 유형에 따른 잠재집단 분류와 예측요인 분석
- 팬데믹을 경험한 후기 청소년의 대인관계능력 향상을 위한 해결중심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검증
- 대학생의 아동기 외상이 사회적 위축에 미치는 영향: 비합리적 신념의 병렬 매개 효과
- 대학생의 경험․협력․탐구학습 수준 차이 분석: I대학교 IU-EXCEL 교육모델을 중심으로
- Q방법론을 활용한 보육교사 성인학습자의 대학 학습경험에 대한 인식유형 연구
- 교사소진 회복자원으로서의 마음챙김과 성장마인드셋에 대한 탐색적 연구
- 협력적 소통 역량 함양을 위한 블렌디드 PBL 교실 실행 연구
- 중장년층 디지털스트레스 척도 개발 및 타당화
- 상실을 경험한 노인들의 의도적 반추와 외상 후 성장, 자아초월 및 노년초월의 관계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심리학분야 NEW
- 발달장애 청년 자녀를 둔 부모가 지각하는 행복 : Q 방법론적 접근
- 산재 후 니트(NEET) 집단의 심리‧사회적 특성과 재활서비스 욕구에 따른 잠재프로파일 분석
- 주의력 부족과 인터넷 게임 중독의 관계: 인터넷 게임 동기의 매개효과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