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어머니의 과보호적 양육태도와 초기 청소년의 사회불안 간의 관계에서 기본심리욕구 만족과 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의 조절된 매개효과
이용수 6
- 영문명
- The Moderated Mediation Effect of Basic Psychological Need Satisfaction and 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aternal Overprotective Parenting and Early Adolescents’ Social Anxiety
- 발행기관
- 인지발달중재학회
- 저자명
- 이지민 김희화
- 간행물 정보
- 『인지발달중재학회지』제16권 제3호, 85~106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심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9.30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어머니의 과보호적 양육태도와 초기 청소년의 사회불안 간 의 관계에서 기본심리욕구 만족의 매개효과와 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의 수준에 따른 매개효과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한 조절된 매개효과를 살펴보는 것이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부산시와 김해시에 거주하며 초등학교 5, 6학년에 재학 중인 초기 청소년 210명을 대상으로 진행되었다. 어머니의 과보호적 양육태도, 청소년의 사회불안, 기본심리욕구 만족 및 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은 자기보고식 질문지를 통해 측정 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30.0과 PROCESS macro Model 4, 1, 7을 통해 Pearson 상관분석, 매개효과, 조절효과, 조절된 매개효과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어머니의 과보호적 양육태도가 초기 청소년의 사회불안에 미치는 인과 적 과정에서 기본심리욕구 만족의 매개효과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적응적 인 지적 정서조절 전략은 어머니의 과보호적 양육태도와 초기 청소년의 기본심리욕구 만족 간의 관계를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 수준에 따라, 어머니의 과보호적 양육태도가 초기 청소년의 기본심리욕구 만족을 통해 사회불안에 미치는 간접효과가 달라지는 것으로 조절된 매개효과가 유의하게 나타났다.
결론: 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 수준에 따라 어머니의 과보호적 양육태도와 초기 청소년의 사회불안 간의 관계에서 기본심리욕구 만족의 매개효과가 다르게 나타났다. 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 수준이 높은 경우에는 어머니의 과보호적 양육태도로 사회 불안을 겪는 초기 청소년 자녀를 둔 어머니를 대상으로 과보호적 양육태도를 지양하고, 완화할 수 있도록 돕는 교육이 필요하다. 반면, 적응적 인지적 전략 수준이 평균 이하인 초기 청소년의 경우에는 어머니를 대상으로 과보호적 양육태도의 지양에 대한 교육뿐만 아니라 이에 따른 초기 청소년의 기본심리욕구 만족의 증가 과정을 도모함으로써 사회 불안 완화의 과정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영문 초록
Objective: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moderated mediation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aternal overprotective parenting and adolescents’ social anxiety, with basic psychological need satisfaction as a mediator and 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as a moderator.
Methods: The participants were 210 early adolescents in the 5th and 6th grades of elementary schools residing in Busan and Gimhae, South Korea. Maternal overprotective parenting, adolescents’ social anxiety, basic psychological need satisfaction, and 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were measured using adolescents’ self-report questionnaires. Data wereanalyzed using SPSS 30.0 and PROCESS macro (Models 4, 1, and 7), including Pearson correlation, mediation analysis, moderation analysis, and moderated mediation analysis.
Results: Basic psychological need satisfaction significant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maternal overprotective parenting and adolescents’ social anxiety. 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maternal overprotective parenting and basic psychological need satisfaction. The indirect effect of maternal overprotective parenting on adolescents’ social anxiety, mediated by basic psychological need satisfaction differed based on the level of 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Conclusions: The mediating effect of basic psychological need satisfac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aternal overprotective parenting and adolescents’ social anxiety varied according to the level of 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For adolescents with a high level of 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providing interventions that help mothers reduce and refrain from overprotective parenting is important to alleviate their children’s social anxiety. By contrast, for adolescents with average or low levels of such strategies, not only should mothers be supported in reducing overprotective parenting behaviors, but interventions should also aim to promote adolescents’ basic psychological need satisfaction as a pathway to reducing social anxiety.
목차
서 론
연구방법
연구결과
논 의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DECA-P2 한국어판 유아 회복탄력성 척도의 타당도 검증
- 유아기 자녀를 둔 아버지의 강점척도 개발방향 및 구성요인 탐색
- 유아기 어머니 학력과 학령기 언어유추추론의 관계: 수용어휘와 인지적 통제의 순차적 매개효과
- 가정 내 혼란과 부부갈등이 학령 초기 아동의 실행기능에 미치는 영향: 아동 불안의 매개효과
- 어머니와 청소년 자녀의 스마트폰 과의존, 삶의 만족도, 자녀의 학업 무기력 간의 관계: 자기-상대방 상호의존모형(APIM)의 적용
- 어머니의 과보호적 양육태도와 초기 청소년의 사회불안 간의 관계에서 기본심리욕구 만족과 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의 조절된 매개효과
-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의 심리적 통제가 사회불안에 미치는 영향: 정서표현억제의 매개효과
- 청소년의 팬덤활동 유형에 따른 잠재집단 분류와 예측요인 분석
- 팬데믹을 경험한 후기 청소년의 대인관계능력 향상을 위한 해결중심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검증
- 대학생의 아동기 외상이 사회적 위축에 미치는 영향: 비합리적 신념의 병렬 매개 효과
- 대학생의 경험․협력․탐구학습 수준 차이 분석: I대학교 IU-EXCEL 교육모델을 중심으로
- Q방법론을 활용한 보육교사 성인학습자의 대학 학습경험에 대한 인식유형 연구
- 교사소진 회복자원으로서의 마음챙김과 성장마인드셋에 대한 탐색적 연구
- 협력적 소통 역량 함양을 위한 블렌디드 PBL 교실 실행 연구
- 중장년층 디지털스트레스 척도 개발 및 타당화
- 상실을 경험한 노인들의 의도적 반추와 외상 후 성장, 자아초월 및 노년초월의 관계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심리학분야 NEW
- 발달장애 청년 자녀를 둔 부모가 지각하는 행복 : Q 방법론적 접근
- 산재 후 니트(NEET) 집단의 심리‧사회적 특성과 재활서비스 욕구에 따른 잠재프로파일 분석
- 주의력 부족과 인터넷 게임 중독의 관계: 인터넷 게임 동기의 매개효과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