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DECA-P2 한국어판 유아 회복탄력성 척도의 타당도 검증
이용수 9
- 영문명
- Validation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DECA-P2 Early Childhood Resilience Scale
- 발행기관
- 인지발달중재학회
- 저자명
- 김현수
- 간행물 정보
- 『인지발달중재학회지』제16권 제3호, 1~21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심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9.30
5,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연구목적: 본 연구는 DECA-P2 (Devereux Early Childhood Assessment for Preschoolers, Second Edition)를 한국어로 번안하고, 유아 회복탄력성 평가 도구로서의 타당도와 신뢰도를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 이를 위해 유아교사 340명의 응답 자료를 대상으로 SPSS 25와 AMOS 29.0을 사용하여 문항의 정규성 검토와 함께 탐색적․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자료 분석 결과, DECA-P2는 자기조절, 애착/관계, 주도성의 3요인 구조로 확인되었으며, 수정된 확인적 요인모형은 수용 가능한 적합도 지수를 보여 구조적 타당성이 입증되었다. 이는 DECA-P2가 회복탄력성의 핵심 구성요인을 한국 문화적 맥락에 적합하게 반영하며, 유아 회복탄력성 평가를 위한 타당한 측정도구로 활용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결론: 본 연구는 DECA-P2를 한국어로 번안하고 그 타당도와 신뢰도를 검증하여, 유아 회복탄력성을 평가할 수 있는 문화적으로 적합하고 검증된 측정 도구를 제시하였다. 이를 통해 향후 회복탄력성 연구의 평가 기반을 강화하고, 교육 현장과 정책 수립에 활용 가능한 실증적 자료를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Objective: This study aimed to translate the Devereux Early Childhood Assessment for Preschoolers, Second Edition (DECA-P2) into Korean and to evaluate its psychometric properties, with an emphasis on its validity and reliability as a tool for measuring resilience in young children.
Methods: Data from 340 early childhood teachers were analyzed using SPSS 25 and AMOS 29.0. Analyses included assessments of item normality, followed by exploratory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es.
Results: The findings indicated that the DECA-P2 comprised a three factor structure regulation, attachment/relationships, and initiative. The modified confirmatory factor model demonstrated acceptable fit indices, supporting the structural validity of the instrument.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DECA-P2 adequately reflects the core components of resilience within the Korean cultural context.
Conclusions: This study successfully translated the DECA-P2 into Korean and validated its psychometric properties, providing evidence for its cultural appropriateness and empirical utility in assessing resilience in young children. This establishes a foundation for future resilience research and offers empirical data that can inform educational practice and policy development.
목차
서 론
연구방법
연구 결과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DECA-P2 한국어판 유아 회복탄력성 척도의 타당도 검증
- 유아기 자녀를 둔 아버지의 강점척도 개발방향 및 구성요인 탐색
- 유아기 어머니 학력과 학령기 언어유추추론의 관계: 수용어휘와 인지적 통제의 순차적 매개효과
- 가정 내 혼란과 부부갈등이 학령 초기 아동의 실행기능에 미치는 영향: 아동 불안의 매개효과
- 어머니와 청소년 자녀의 스마트폰 과의존, 삶의 만족도, 자녀의 학업 무기력 간의 관계: 자기-상대방 상호의존모형(APIM)의 적용
- 어머니의 과보호적 양육태도와 초기 청소년의 사회불안 간의 관계에서 기본심리욕구 만족과 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의 조절된 매개효과
-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의 심리적 통제가 사회불안에 미치는 영향: 정서표현억제의 매개효과
- 청소년의 팬덤활동 유형에 따른 잠재집단 분류와 예측요인 분석
- 팬데믹을 경험한 후기 청소년의 대인관계능력 향상을 위한 해결중심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검증
- 대학생의 아동기 외상이 사회적 위축에 미치는 영향: 비합리적 신념의 병렬 매개 효과
- 대학생의 경험․협력․탐구학습 수준 차이 분석: I대학교 IU-EXCEL 교육모델을 중심으로
- Q방법론을 활용한 보육교사 성인학습자의 대학 학습경험에 대한 인식유형 연구
- 교사소진 회복자원으로서의 마음챙김과 성장마인드셋에 대한 탐색적 연구
- 협력적 소통 역량 함양을 위한 블렌디드 PBL 교실 실행 연구
- 중장년층 디지털스트레스 척도 개발 및 타당화
- 상실을 경험한 노인들의 의도적 반추와 외상 후 성장, 자아초월 및 노년초월의 관계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심리학분야 NEW
- 발달장애 청년 자녀를 둔 부모가 지각하는 행복 : Q 방법론적 접근
- 산재 후 니트(NEET) 집단의 심리‧사회적 특성과 재활서비스 욕구에 따른 잠재프로파일 분석
- 주의력 부족과 인터넷 게임 중독의 관계: 인터넷 게임 동기의 매개효과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