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교사소진 회복자원으로서의 마음챙김과 성장마인드셋에 대한 탐색적 연구
이용수 15
- 영문명
- Discourse on Teachers’ Recovery Resources: Focusing on Mindfulness and Growth Mindset
- 발행기관
- 인지발달중재학회
- 저자명
- 김연주
- 간행물 정보
- 『인지발달중재학회지』제16권 제3호, 245~263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심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9.30
5,0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연구목적: 본 연구는 교사의 소진을 완화하기 위한 내적자원의 중요성에 주목하였다. 특히 마음챙김과 성장마인드셋이 교사의 심리적 회복자원으로서 어떠한 역할을 수행하는지 탐색하였다. 또한 Hobfoll (1989)의 자원보존이론(conservation of resources)을 토대로 해당 자원들이 교사소진 완화에 미치는 메커니즘을 개념적으로 제시하였다.
연구방법: 이를 위해 국내외 문헌고찰을 실시하고, 마음챙김과 성장마인드셋의 이론적 배경을 분석하였다. 뿐만 아니라, 선행연구를 종합하여 두 자원이 교사소진 완화에 미치는 영향을 도식화하였다.
연구결과: 분석결과, 마음챙김과 성장마인드셋은 교사소진을 낮추는 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핵심요인으로 나타났다. 즉, 이들은 상호보완적으로 작용하여 교사의 회복력을 보다 견고하게 구축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결론: 마음챙김과 성장마인드셋은 나아가 교육현장의 질적개선과 지속 가능한 환경조성에도 기여할 수 있다. 따라서 교육정책과 교사 전문성 개발 프로그램에서 해당 기제들을 적극적으로 반영하고 확산시키는 전략이 필요하다.
영문 초록
Purpose: This study focuses on the importance of internal resources to alleviate teacher burnoutt. Specifically, it explores the roles of mindfulness and growth mindset as psychological recovery resources for teachers. Based on Hobfoll’s (1989) Conservation of Resources theory, the study conceptually presents the mechanisms through which these resources influence the mitigation of teacher burnout.
Methods: A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was undertaken to elucidate the theoretical underpinnings of mindfulness and growth mindset. Domestic literature was collected through major Korean academic databases including RISS (Academic Research Information Service), KISS (Korean Studies Information Service System), and DBpia, while international literature was sourced from databases such as Google Scholar, ERIC (Education Resources Information Center), and PubMed. Empirical and conceptual studies were synthesized to articulate and model the influence of these variables on alleviating teacher burnout.
Results: The analysis revealed that mindfulness and growth mindset function as key factors positively affecting the reduction of teacher burnout. They were found to work complementarily, contributing to the strengthening of teachers’ psychological resilience.
Conclusion: Mindfulness and a growth mindset further contribute to qualitative improvements and the sustainable development of educational environments. Therefore, it is essential to actively incorporate and promote these mechanisms in educational policies and teacher professional development programs.
목차
서 론
이론적 배경
연구방법
연구결과
논 의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DECA-P2 한국어판 유아 회복탄력성 척도의 타당도 검증
- 유아기 자녀를 둔 아버지의 강점척도 개발방향 및 구성요인 탐색
- 유아기 어머니 학력과 학령기 언어유추추론의 관계: 수용어휘와 인지적 통제의 순차적 매개효과
- 가정 내 혼란과 부부갈등이 학령 초기 아동의 실행기능에 미치는 영향: 아동 불안의 매개효과
- 어머니와 청소년 자녀의 스마트폰 과의존, 삶의 만족도, 자녀의 학업 무기력 간의 관계: 자기-상대방 상호의존모형(APIM)의 적용
- 어머니의 과보호적 양육태도와 초기 청소년의 사회불안 간의 관계에서 기본심리욕구 만족과 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의 조절된 매개효과
-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의 심리적 통제가 사회불안에 미치는 영향: 정서표현억제의 매개효과
- 청소년의 팬덤활동 유형에 따른 잠재집단 분류와 예측요인 분석
- 팬데믹을 경험한 후기 청소년의 대인관계능력 향상을 위한 해결중심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검증
- 대학생의 아동기 외상이 사회적 위축에 미치는 영향: 비합리적 신념의 병렬 매개 효과
- 대학생의 경험․협력․탐구학습 수준 차이 분석: I대학교 IU-EXCEL 교육모델을 중심으로
- Q방법론을 활용한 보육교사 성인학습자의 대학 학습경험에 대한 인식유형 연구
- 교사소진 회복자원으로서의 마음챙김과 성장마인드셋에 대한 탐색적 연구
- 협력적 소통 역량 함양을 위한 블렌디드 PBL 교실 실행 연구
- 중장년층 디지털스트레스 척도 개발 및 타당화
- 상실을 경험한 노인들의 의도적 반추와 외상 후 성장, 자아초월 및 노년초월의 관계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심리학분야 NEW
- 발달장애 청년 자녀를 둔 부모가 지각하는 행복 : Q 방법론적 접근
- 산재 후 니트(NEET) 집단의 심리‧사회적 특성과 재활서비스 욕구에 따른 잠재프로파일 분석
- 주의력 부족과 인터넷 게임 중독의 관계: 인터넷 게임 동기의 매개효과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