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대학생의 아동기 외상이 사회적 위축에 미치는 영향: 비합리적 신념의 병렬 매개 효과
이용수 15
- 영문명
- The Parallel Mediating Effects of Irrational Belief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hood Trauma and Social Withdrawal in College Students
- 발행기관
- 인지발달중재학회
- 저자명
- 김문정 최응
- 간행물 정보
- 『인지발달중재학회지』제16권 제3호, 185~202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심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9.30
4,9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연구목적: 대학생의 아동기 외상이 사회적 위축에 미치는 영향에서 비합리적 신념의 병렬 다중 매개 효과를 규명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대학생 211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지(google form)를 활용하여 실시하였다. SPSS 25와 Hayes (2022) PROCESS macro 프로그램을 활용하였다. SPSS를 활용하여 기초 분석으로 변인의 기술 통계 및 변인들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이어서 PROCESS macro (Model 4)를 사용하여 본 연구에서 설정한 병렬 다중 매개 모형의 직접 경로에 따른 유의성과 Bootstrapping 절차를 통한 병렬 다중 매개 모형의 매개 효과 유의미성을 확인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아동기 외상은 사회적 위축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며, 자기 비하와 편안함 욕구라는 비합리적 신념을 통해 사회적 위축을 유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성취 욕구와 공정성 요구는 아동기 외상과 사회적 위축 사이에서 유의미한 매개 역할을 하지 않았다. 셋째, 인정 욕구는 다른 비합리적 신념들이 통제되었을 때, 오히려 사회적 위축을 감소시키는 억제 변인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아동기 외상은 사회적 위축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기보다는 자기 비하와 편안함 욕구라는 비합리적 신념을 통해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본 연구에서 발견된 인정 욕구의 억제 효과는 상담 개입에 새로운 방향을 제시한다. 일반적으로 부정적으로 간주되는 인정 욕구가, 자기 비하와 같은 부정적 요소들이 줄어든 특정 심리적 맥락에서는 오히려 사회적 위축을 감소시키는 긍정적인 동기로 작용할 수 있음이 밝혀졌다.
영문 초록
Objective: To investigate the parallel multiple mediating effects of irrational belief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hood trauma and social withdrawal in college students.
Method: An online survey 211 students was conducted using Google Form. IBM SPSS version 25 was used for descriptive statistics and correlation analysis. PROCESS macro program (Model 4) was employed to determine the significance of the direct paths in the parallel multiple mediation model and to confirm the mediation effects using a bootstrapping procedure.
Results: First, childhood trauma did not have a direct impact on social withdrawal but influenced it indirectly through the irrational beliefs of self-denigration and the need for comfort. Second, the need for achievement and the demand for justice did not play a significant mediating role between childhood trauma and social withdrawal. Third, when other irrational beliefs were controlled, the need for approval emerged as a suppressor variable, reducing social withdrawal.
Conclusion: Childhood trauma does not directly cause social withdrawal. Instead, it indirectly influences it through irrational beliefs such as self-depreciation and a desire for comfort. Furthermore a suppressive effect of the need for approval was identified, which suggests a new direction for counseling. While the need for approval is typically seen as a negative trait, this finding indicates that in specific psychological contexts—wherein negative factors such as self-depreciation are reduced—it can act as a positive motivator that reduces social withdrawal.
목차
서 론
연구방법
연구 결과
논 의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DECA-P2 한국어판 유아 회복탄력성 척도의 타당도 검증
- 유아기 자녀를 둔 아버지의 강점척도 개발방향 및 구성요인 탐색
- 유아기 어머니 학력과 학령기 언어유추추론의 관계: 수용어휘와 인지적 통제의 순차적 매개효과
- 가정 내 혼란과 부부갈등이 학령 초기 아동의 실행기능에 미치는 영향: 아동 불안의 매개효과
- 어머니와 청소년 자녀의 스마트폰 과의존, 삶의 만족도, 자녀의 학업 무기력 간의 관계: 자기-상대방 상호의존모형(APIM)의 적용
- 어머니의 과보호적 양육태도와 초기 청소년의 사회불안 간의 관계에서 기본심리욕구 만족과 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의 조절된 매개효과
-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의 심리적 통제가 사회불안에 미치는 영향: 정서표현억제의 매개효과
- 청소년의 팬덤활동 유형에 따른 잠재집단 분류와 예측요인 분석
- 팬데믹을 경험한 후기 청소년의 대인관계능력 향상을 위한 해결중심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검증
- 대학생의 아동기 외상이 사회적 위축에 미치는 영향: 비합리적 신념의 병렬 매개 효과
- 대학생의 경험․협력․탐구학습 수준 차이 분석: I대학교 IU-EXCEL 교육모델을 중심으로
- Q방법론을 활용한 보육교사 성인학습자의 대학 학습경험에 대한 인식유형 연구
- 교사소진 회복자원으로서의 마음챙김과 성장마인드셋에 대한 탐색적 연구
- 협력적 소통 역량 함양을 위한 블렌디드 PBL 교실 실행 연구
- 중장년층 디지털스트레스 척도 개발 및 타당화
- 상실을 경험한 노인들의 의도적 반추와 외상 후 성장, 자아초월 및 노년초월의 관계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심리학분야 NEW
- 발달장애 청년 자녀를 둔 부모가 지각하는 행복 : Q 방법론적 접근
- 산재 후 니트(NEET) 집단의 심리‧사회적 특성과 재활서비스 욕구에 따른 잠재프로파일 분석
- 주의력 부족과 인터넷 게임 중독의 관계: 인터넷 게임 동기의 매개효과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