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Q방법론을 활용한 보육교사 성인학습자의 대학 학습경험에 대한 인식유형 연구
이용수 9
- 영문명
- Subjective Perceptions of University Learning Experiences among Childcare Teachers as Adult Learners
- 발행기관
- 인지발달중재학회
- 저자명
- 형정은
- 간행물 정보
- 『인지발달중재학회지』제16권 제3호, 225~244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심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9.30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연구목적: 본 연구는 보육교사 성인학습자의 대학 학습경험에 대한 주관적 인식을 Q방법으로 유형화하여, 유형별 특성과 정책․교육적 시사점을 도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연구 참여자의 주관적 인식을 심층적으로 탐색하고 유형화하는 데 강점을 지닌 Q방법론을 적용하였다. 심층 면담 및 전문가 자문을 통해 최종 31개의 Q표본을 도출하였다. D대학 유아교육과에 재학 중인 보육교사 32명을 P표본으로 하여 Q Sorting을 실시하고, PQMethod 2.35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강하게 긍정한 문항, 강하게 부정한 문항 그리고 유형별 식별문항을 근거로 해석하여 보육교사 성인학습자의 대학 학습경험에 대한 인식 유형을 3가지로 분류하였다. 제1유형은 유보통합이라는 거시적 정책 변화에 대응하고 현실적 제약을 조율해 학습에 임하는 현실 적응적 과제 대응형이다. 제2유형은 교사로서의 전문성을 심화하고 미래의 경력 기회를 확장하여 유아교사로서의 정체성을 실현하고자 하는 전문성 지향적 성장추구형이다. 제3유형은 학업 수행 과정에서 느끼는 자부심과 동료와의 강한 유대감을 핵심 동력으로 삼아 학문적 성취를 이루어가는 정서적 자본기반의 성취형이다.
결론: 유보통합이라는 정책적 전환기를 맞아 보육교사의 전문성 재정립이 요구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성인학습자인 보육교사의 학습경험에 대한 인식 유형을 규명함으로써, 변화하는 정책 환경에 부응하는 교사 재교육의 방향성과 정책적 대안을 모색하는 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영문 초록
Objective: This study aims to exemplify the subjective perceptions of childcare teachers, as adult learners, regarding their university learning experiences. Additionally, it seeks to derive policy and educational implications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each type.
Methods: Q-methodology was applied, as it enables a robust and in-depth exploration and categorization of subjective perceptions. A final set of 31 Q-samples was deriv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and expert consultations. Q-sorting was performed with a P-sample of 32 in-service chilcare teachers enrolled in the Depart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t D University, and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PQ Method 2.35.
Results: The analysis revealed three distinct types of perception regarding university learning experiences, interpreted based on statements with which participants strongly agreed or disagreed, as well as distinguishing statements for each type. The classifications were named as follows: Type 1, the “Realistic-Adaptive Task-Responsive Type”; Type 2, the “Professionalism-Oriented Growth-Seeking Type”; and Type 3, the ‘Emotional Capital-Based Achievement Type’.
Conclusions: This study elucidates the multidimensional structure of childcare teachers’ learning experience. This study's identification of perception types is expected to serve as foundational data for establishing re-education policies and program directions for childcare teachers, especially in context of the major policy shift toward the integration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are.
목차
서 론
연구방법
결 과
논 의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DECA-P2 한국어판 유아 회복탄력성 척도의 타당도 검증
- 유아기 자녀를 둔 아버지의 강점척도 개발방향 및 구성요인 탐색
- 유아기 어머니 학력과 학령기 언어유추추론의 관계: 수용어휘와 인지적 통제의 순차적 매개효과
- 가정 내 혼란과 부부갈등이 학령 초기 아동의 실행기능에 미치는 영향: 아동 불안의 매개효과
- 어머니와 청소년 자녀의 스마트폰 과의존, 삶의 만족도, 자녀의 학업 무기력 간의 관계: 자기-상대방 상호의존모형(APIM)의 적용
- 어머니의 과보호적 양육태도와 초기 청소년의 사회불안 간의 관계에서 기본심리욕구 만족과 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의 조절된 매개효과
-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의 심리적 통제가 사회불안에 미치는 영향: 정서표현억제의 매개효과
- 청소년의 팬덤활동 유형에 따른 잠재집단 분류와 예측요인 분석
- 팬데믹을 경험한 후기 청소년의 대인관계능력 향상을 위한 해결중심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검증
- 대학생의 아동기 외상이 사회적 위축에 미치는 영향: 비합리적 신념의 병렬 매개 효과
- 대학생의 경험․협력․탐구학습 수준 차이 분석: I대학교 IU-EXCEL 교육모델을 중심으로
- Q방법론을 활용한 보육교사 성인학습자의 대학 학습경험에 대한 인식유형 연구
- 교사소진 회복자원으로서의 마음챙김과 성장마인드셋에 대한 탐색적 연구
- 협력적 소통 역량 함양을 위한 블렌디드 PBL 교실 실행 연구
- 중장년층 디지털스트레스 척도 개발 및 타당화
- 상실을 경험한 노인들의 의도적 반추와 외상 후 성장, 자아초월 및 노년초월의 관계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심리학분야 NEW
- 발달장애 청년 자녀를 둔 부모가 지각하는 행복 : Q 방법론적 접근
- 산재 후 니트(NEET) 집단의 심리‧사회적 특성과 재활서비스 욕구에 따른 잠재프로파일 분석
- 주의력 부족과 인터넷 게임 중독의 관계: 인터넷 게임 동기의 매개효과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