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팬데믹을 경험한 후기 청소년의 대인관계능력 향상을 위한 해결중심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검증
이용수 9
- 영문명
-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a Solution-Focused Group Counseling Program for Enhancing Interpersonal Competence in Post-Pandemic Late Adolescents
- 발행기관
- 인지발달중재학회
- 저자명
- 김승윤 김동연
- 간행물 정보
- 『인지발달중재학회지』제16권 제3호, 161~183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심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9.30
5,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 팬데믹을 경험한 후기 청소년의 대인관계능력을 향상시키고자 해결중심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그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프로그램은 기획, 설계, 예비연구, 수행 과정을 통해 최종 개발하였다.
연구방법: 연구대상은 후기 청소년에 해당하는 대학생 16명으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나뉘었으며 실험집단에는 회기 당 60분씩, 총 10회기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9.0을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분석 결과, 프로그램 실시에 따른 후기 청소년의 부적응적 완변주의는 유의하게 감소하였고, 대인관계 유능성은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그러나 대인관계 만족도는 유의미한 차이가 보이지 않았다.
결론: 끝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 대학 현장에서 대인관계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개입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Objective: This study aimed to develop and evaluate a solution-focused group counseling program designed to enhance interpersonal competence among late adolescents who experienced the COVID-19 pandemic. The program was finalized in four stages: planning, design, pilot testing, and implementation.
Methods: : Sixteen late-adolescent undergraduates were assigned to either the experimental or a control group. The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ed in 10 sessions, each lasting 60 minutes.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9.0.
Results: A significant reduction in maladaptive perfectionism and significant increase in interpersonal competence existed among participants in the experimental group. However, changes in interpersonal satisfaction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Conclusions: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 study are discussed, along with suggestions for university-based interventions to enhance interpersonal competence.
목차
서 론
연구방법
결 과
논 의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DECA-P2 한국어판 유아 회복탄력성 척도의 타당도 검증
- 유아기 자녀를 둔 아버지의 강점척도 개발방향 및 구성요인 탐색
- 유아기 어머니 학력과 학령기 언어유추추론의 관계: 수용어휘와 인지적 통제의 순차적 매개효과
- 가정 내 혼란과 부부갈등이 학령 초기 아동의 실행기능에 미치는 영향: 아동 불안의 매개효과
- 어머니와 청소년 자녀의 스마트폰 과의존, 삶의 만족도, 자녀의 학업 무기력 간의 관계: 자기-상대방 상호의존모형(APIM)의 적용
- 어머니의 과보호적 양육태도와 초기 청소년의 사회불안 간의 관계에서 기본심리욕구 만족과 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의 조절된 매개효과
-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의 심리적 통제가 사회불안에 미치는 영향: 정서표현억제의 매개효과
- 청소년의 팬덤활동 유형에 따른 잠재집단 분류와 예측요인 분석
- 팬데믹을 경험한 후기 청소년의 대인관계능력 향상을 위한 해결중심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검증
- 대학생의 아동기 외상이 사회적 위축에 미치는 영향: 비합리적 신념의 병렬 매개 효과
- 대학생의 경험․협력․탐구학습 수준 차이 분석: I대학교 IU-EXCEL 교육모델을 중심으로
- Q방법론을 활용한 보육교사 성인학습자의 대학 학습경험에 대한 인식유형 연구
- 교사소진 회복자원으로서의 마음챙김과 성장마인드셋에 대한 탐색적 연구
- 협력적 소통 역량 함양을 위한 블렌디드 PBL 교실 실행 연구
- 중장년층 디지털스트레스 척도 개발 및 타당화
- 상실을 경험한 노인들의 의도적 반추와 외상 후 성장, 자아초월 및 노년초월의 관계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심리학분야 NEW
- 발달장애 청년 자녀를 둔 부모가 지각하는 행복 : Q 방법론적 접근
- 산재 후 니트(NEET) 집단의 심리‧사회적 특성과 재활서비스 욕구에 따른 잠재프로파일 분석
- 주의력 부족과 인터넷 게임 중독의 관계: 인터넷 게임 동기의 매개효과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