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산재 후 니트(NEET) 집단의 심리‧사회적 특성과 재활서비스 욕구에 따른 잠재프로파일 분석
이용수 0
- 영문명
- Latent Profile Analysis of Psychosocial Characteristics and Rehabilitation Service Needs among NEET Workers After Industrial Accidents
- 발행기관
- 한국재활심리학회
- 저자명
- 이혜은 김민서 이은숙
- 간행물 정보
- 『재활심리연구』제32권 제3호, 21~41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심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9.30
5,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산업재해 이후 니트(NEET) 상태에 놓인 근로자 집단을 대상으로 심리‧사회적 특성에 따른 잠재집단을 유형화하고, 집단별 재활서비스 욕구 차이를 분석하여 맞춤형 재활지원 전략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2023년 산재보험패널조사인 3차 코호트 1차년도 조사자료 중 요양을 종결한 니트 상태에 처한 근로자 334명을 대상으로 잠재프로파일 분석(LPA)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심리-기능 취약형’, ‘심리-기능 중간형’, ‘주도-장벽 공존형’의 3개 잠재 집단이 도출되었으며, 이들 집단은 우울, 자아존중감, 대인관계주도성, 직무수행효능감, 취업장벽의 심리‧사회적 특성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특히 ‘심리-기능 취약형’은 심리상담 욕구가 높았고, ‘심리-기능 중간형’은 직업훈련 욕구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주도-장벽 공존형’은 여성 비율이 높고 취업장벽에 대한 인식이 두드러졌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산재 후 니트 근로자의 다양한 심리‧사회적 특성과 재활서비스 욕구를 반영한 맞춤형 개입 방안의 필요성을 제언하며, 향후 재활 정책 수립과 상담 개입 시 실질적인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latent profiles of workers in NEET (Not in Education, Employment, or Training) status following industrial accidents, based on psychosocial characteristics, and to analyze differences in rehabilitation service needs across three groups. The goal was to suggest tailored rehabilitation support strategies. Using data from the 2023 Korea Workers’Compensation Panel Survey (3rd cohort, 1st wave), latent profile analysis (LPA) was conducted with 334 workers who had completed medical treatment but remained in NEET status. Three distinct profiles were identified: (1) psychological–functional vulnerable, (2) psychological–functional moderate, and (3) initiative–barrier coexistence. The groups differed significantly in depression, self-esteem, interpersonal initiative, job performance efficacy, and perceived employment barriers. The “vulnerable”group showed the highest demand for psychological counseling, while the “moderate”group expressed the greatest need for vocational training, andthe “coexistence”group, characterized by a higher proportion of women, reported pronounced recognition of employment barriers. The study highlights the importance of designing tailored interventions that address the heterogeneous psychosocial characteristics and service needs of NEET workers after industrial accidents.
목차
방 법
결 과
논 의
참 고 문 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발달장애 청년 자녀를 둔 부모가 지각하는 행복 : Q 방법론적 접근
- 산재 후 니트(NEET) 집단의 심리‧사회적 특성과 재활서비스 욕구에 따른 잠재프로파일 분석
- 주의력 부족과 인터넷 게임 중독의 관계: 인터넷 게임 동기의 매개효과
- 강박 증상과 역기능적 분노 표현의 관계: 적대적 귀인 편향에 의해 조절된 지각된 통제감의 매개효과
- 한부모가정 아동의 애착 외상과 사회불안의 관계에서 의도 귀인과 정서표현 양가성의 매개효과
- 어린 시절 지각된 어머니의 우울이 초기성인기 자녀의 문제음주에 미치는 영향: 어머니의 정서적 가용성과 자녀 우울의 순차적 매개효과
-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과 불안의 관계: 자기자비와 긍정적 재평가의 매개효과
- 중년 남성의 부당성 인식(억울), 우울, 습득된 자살 실행력에 대한 잠재프로파일 분석: 초기 부적응 도식을 중심으로
- 대학생의 부‧모애착이 정서‧성격적 진로결정어려움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기위로능력의 매개효과
- 초기부적응도식이 성인의 신체화에 미치는 영향: 경험회피와 감정표현불능증의 매개효과
- 반복적 부정사고의 완화요인으로서 인지적 재구성과 탈중심화의 비교: 생활사건, 반복적 부정사고,우울 및 불안의 관계에서 두 완화요인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직장인 소명과 직무만족의 관계에 관한 통합적 문헌고찰 : 국내 양적 연구를 중심으로
- 학교생활만족도 수준에 따른 고등학생의 학업열의와 끈기 간 종단적 교차영향 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심리학분야 NEW
- 발달장애 청년 자녀를 둔 부모가 지각하는 행복 : Q 방법론적 접근
- 산재 후 니트(NEET) 집단의 심리‧사회적 특성과 재활서비스 욕구에 따른 잠재프로파일 분석
- 주의력 부족과 인터넷 게임 중독의 관계: 인터넷 게임 동기의 매개효과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