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심리극 전문가의 디렉팅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이용수 119
- 영문명
- A Phenomenological Study on the Directing Experience of Psychodrama Experts
- 발행기관
- 한국복지상담교육학회
- 저자명
- 이기순 이선화
- 간행물 정보
- 『복지상담교육연구』제14권 제1호, 283~310쪽, 전체 2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4.30
6,1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심리극 전문가들의 디렉팅 경험을 Giorgi의 현상학적 연구방법을 적용하여 탐색하였다. 심리극은 내담자의 심리적 통찰과 변화를 촉진하는 치료적 기법으로, 디렉터의 역할이 치료 효과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그러나 심리극 디렉터의 경험과 전문적 성장에 대한 연구는 아직 미비하므로, 본 연구는 디렉터의 역할 수행과 개입 방식을 심층적으로 이해하고 심리극의 효과를 극대화하는 방안을 모색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연구참여자로 심리극 전문가들을 선정하여 심층 면담을 진행하였으며, Giorgi의 분석 절차를 적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심리극 디렉터의 경험은 ‘호기심을 자극하는 장면에 대한 강렬한 이끌림’, ‘지속적인 슈퍼바이저의 피드백으로 발전됨’, ‘효과적 기법 활용으로 다양한 디렉팅 경험’, ‘행위화에 따른 안전의식의 중요성을 인식함’, ‘심리극의 한계를 알아차려 감’의 다섯 가지 본질적 주제로 도출되었다. 디렉터는 내담자의 감정적 저항을 극복하는 과정에서 심리적 도전을 경험하며 전문성을 향상시키지만, 심리극의 즉흥적 특성과 역할 수행의 복잡성으로 인해 심리적 소진과 역할 갈등을 경험하기도 하였다. 본 연구는 심리극 디렉터의 경험을 탐색함으로써 디렉터 양성 및 훈련 프로그램 개발에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 심리극의 치료적 효과를 극대화하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plored the directing experience of psychodrama experts by applying Giorgi’s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 Psychodrama is a therapeutic technique that promotes psychological insight and change in the client, and the role of the director has an important influence on the effectiveness of the treatment. However, since research on the experience and professional growth of psychodrama directors is limited,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director’s role performance and intervention methods in depth and seek ways to maximize the effectiveness of psychodrama. Psychodrama experts were selected as participants for in-depth interviews, and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Giorgi’s analysis procedure. As a result, the experience of psychodrama directors was derived from five essential themes: ‘intense attraction to scenes that stimulate curiosity’, ‘developed through continuous supervisor feedback’, ‘various directing experiences through effective use of techniques’, ‘awareness of the importance of safety consciousness due to behavior’, and ‘awareness of the limitations of psychodrama’. The director experienced psychological challenges and improved his expertise in the process of overcoming the client's emotional resistance, but he also experienced psychological exhaustion and role conflict due to the improvisational nature of psychodrama and the complexity of role performance. This study will provide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director training and training programs by exploring the experience of psychodrama directors, and contribute to maximizing the therapeutic effect of psychodrama.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신혼기 남녀의 내면화된 수치심이 부부친밀감에 미치는 영향: 관계진솔성과 지각된 배우자 지지의 순차매개효과
- 사회복지시설종사자의 감정노동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노인요양시설 요양보호사의 감정노동과 행복감 간 관계에서 소진의 매개효과
- 심리극 전문가의 디렉팅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 초등학교에서 중학교로의 전환기 정서행동문제의 전이 양상 분석: 잠재프로파일 분석을 활용한 잠재집단 분류와 예측요인을 중심으로
- 주의력 결핍/과잉행동 장애 초등학생의 학교 내 공격행동에 대한 다중체계치료 사례연구
- 고립 청년들의 탈고립 과정과 심리상담의 역할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 알코올 사용장애 예측요인에 대한 국내 연구의 체계적 문헌고찰
- 소매틱(somatic) 마음챙김 기반의 중년기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과 효과검증
- 당뇨병 환자의 주관적 스트레스와 우울 증상 간의 관계에서 사회적 관계망의 조절효과
- 고령친화 지역사회환경이 노인의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사회참여활동의 매개효과와 건강상태의 조절된 매개효과
- 청소년의 정신건강과 복합중독과의 관계: 성별 차이를 중심으로
- 대학생의 거부민감성이 자살사고에 미치는 영향: 인지적 유연성과 비자기결정적 고독 동기의 순차적 매개효과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BEST
- 사회복지의 법적 실천에 관한 탐색적 연구
- 코로나19로 인한 일상생활의 변화가 코로나블루에 미치는 영향
- 한국과 미국의 사회복지 윤리강령 비교연구 : 비밀보장, 이중관계, 문화적 다양성, 결함이 있는 동료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NEW
- 사회복지상담과 불교철학의 융합 가능성 :이론·실천의 통합을 위한 개입 모형 제안
- 사회복지사의 소명의식이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에서 조직지원인식의 조절효과
- 정신장애인을 위한 정신건강 증진접근의 개념화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