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알코올 사용장애 예측요인에 대한 국내 연구의 체계적 문헌고찰
이용수 210
- 영문명
- A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of Predictive Factors for Alcohol Use Disorder in South Korea
- 발행기관
- 한국복지상담교육학회
- 저자명
- 간행물 정보
- 『복지상담교육연구』제14권 제1호, 103~129쪽, 전체 2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4.30
6,0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국내에서 수행된 알코올 사용장애 관련 연구 중 2015년부터 2023년까지 발표된 학술논문 29편을 체계적 문헌고찰(Systematic Literature Review)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주요 예측요인을 정신·심리적, 신체적, 사회·환경적, 가족 요인으로 분류하고, 연구 시기에 따른 동향 변화를 비교·검토하였다. 그 결과 초기 연구들은 우울, 스트레스, 자아존중감 등 심리적 요인에 초점을 맞춘 경향이 강했으나, 최근에는 사회적 낙인감, 경제적 박탈, 부모화, 직무스트레스 등 사회․환경적 요인의 영향에 대한 분석이 확대되었다. 특히 Bronfenbrenner의 생태체계 이론에 기반하여 사회적 맥락 속 개인의 적응력과 음주 행동 간의 연관성을 통합적으로 해석하려는 시도가 나타났다. 본 연구는 기존 문헌고찰에서 다루지 않았던 미시적 요인들을 새롭게 반영하고, 예측요인 간 상호작용을 다차원적으로 정리함으로써 알코올 사용장애 예방 및 개입 전략 수립에 실질적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conducted a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of 29 peer-reviewed Korean academic articles published between 2015 and 2023, with the aim of identifying key predictive factors for alcohol use disorder (AUD). The selected studies were categorized based on four domains: psychological, physical, social-environmental, and familial factors. A comparative analysis by period revealed that earlier studies primarily focused on individual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such as depression and stress, whereas more recent studies have increasingly addressed micro-level social factors including social stigma, economic deprivation, parentification, and job stress. Drawing on Bronfenbrenner’s ecological systems theory, recent research has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contextual factors and their influence on individuals’ adaptive capacity and drinking behavior. This review also highlights the growing attention to the interaction of multi-dimensional predictors, reflecting a shift toward a more integrated and structural understanding of AUD. By incorporating underexplored variables and broadening the scope of analysis, this study provides foundational knowledge for the development of effective prevention and intervention strategies tailored to the complex nature of alcohol use disorder.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신혼기 남녀의 내면화된 수치심이 부부친밀감에 미치는 영향: 관계진솔성과 지각된 배우자 지지의 순차매개효과
- 사회복지시설종사자의 감정노동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노인요양시설 요양보호사의 감정노동과 행복감 간 관계에서 소진의 매개효과
- 심리극 전문가의 디렉팅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 초등학교에서 중학교로의 전환기 정서행동문제의 전이 양상 분석: 잠재프로파일 분석을 활용한 잠재집단 분류와 예측요인을 중심으로
- 주의력 결핍/과잉행동 장애 초등학생의 학교 내 공격행동에 대한 다중체계치료 사례연구
- 고립 청년들의 탈고립 과정과 심리상담의 역할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 알코올 사용장애 예측요인에 대한 국내 연구의 체계적 문헌고찰
- 소매틱(somatic) 마음챙김 기반의 중년기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과 효과검증
- 당뇨병 환자의 주관적 스트레스와 우울 증상 간의 관계에서 사회적 관계망의 조절효과
- 고령친화 지역사회환경이 노인의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사회참여활동의 매개효과와 건강상태의 조절된 매개효과
- 청소년의 정신건강과 복합중독과의 관계: 성별 차이를 중심으로
- 대학생의 거부민감성이 자살사고에 미치는 영향: 인지적 유연성과 비자기결정적 고독 동기의 순차적 매개효과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BEST
- 사회복지의 법적 실천에 관한 탐색적 연구
- 코로나19로 인한 일상생활의 변화가 코로나블루에 미치는 영향
- 한국과 미국의 사회복지 윤리강령 비교연구 : 비밀보장, 이중관계, 문화적 다양성, 결함이 있는 동료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NEW
- 사회복지상담과 불교철학의 융합 가능성 :이론·실천의 통합을 위한 개입 모형 제안
- 사회복지사의 소명의식이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에서 조직지원인식의 조절효과
- 정신장애인을 위한 정신건강 증진접근의 개념화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