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노인요양시설 요양보호사의 감정노동과 행복감 간 관계에서 소진의 매개효과

이용수  128

영문명
The Mediating Effect of Burnou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Labor and Happiness of Long-term Care Workers in Long-term Care Facilities
발행기관
한국복지상담교육학회
저자명
김온숙 김경화
간행물 정보
『복지상담교육연구』제14권 제1호, 213~241쪽, 전체 29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4.30
6,2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감정노동에 상대적으로 많이 노출되는 노인요양시설 요양보호사를 대상으로 이들의 감정노동이 행복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그리고 이들 변수 간 관계에서 소진이 유의한 매개효과를 갖는지 검증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목적 달성을 위해 대구광역시와 경북 지역에 소재한 노인요양시설에 재직 중인 요양보호사를 407명을 표집해 설문조사를 통해 분석 자료를 수집한 후, 다중회귀분석, 매개효과분석 등을 통해 통계적 검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요양보호사의 연령, 근무 경력, 결혼 상태, 가구 월 소득을 통제했을 때, 감정노동은 행복감에 부(-)적 영향을 미쳤다. 또한 감정노동과 행복감 간 영향 관계에서 소진은 유의한 매개효과를 가졌고, 매개효과의 성격은 부분매개효과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이러한 분석 결과에 기초해 논의를 수행한 뒤 다음의 3가지 시사점을 도출해 제시했다. 첫째, 학술적 측면에서 감정노동, 소진, 행복감에 관한 더욱 다양한 연구 모형을 상정하거나 다른 감정노동자 집단을 대상으로 하는 등의 연구 확장이 필요하다. 둘째, 실무적 측면에서 요양보호사의 행복감 제고를 위해 감정노동과 소진을 동시 조절하는 교육 전략의 적용이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정책적 측면에서 노인요양시설 요양보호사의 인적 자원 관리를 위한 예산상 지원이 지속해서 확충될 필요가 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how the emotional labor of long-term care workers in long-term care facilities, who are relatively exposed to emotional labor, affects their happiness and whether burnout has a significant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se variables.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407 long-term care workers working in long-term care facilities in Daegu and Gyeongbuk were sampled and data were collected through a questionnaire survey. Then, statistical verification was conducted through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mediation effect analysis. As a result, when the long-term care workers’ age, work experience, marital status, and household monthly income were controlled, emotional labor had a negative effect on happiness. In addition, burnout had a significant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labor and happiness, and the nature of the mediating effect was confirmed to be a partial mediating effect. After conducting a discussion based on these analysis results, this study derived and presented the following three implications: First, from an academic perspective, it is necessary to expand research by assuming more diverse research models on emotional labor, burnout, and happiness, or targeting other groups of emotional laborers. Second, from a practical perspective, it is necessary to apply educational strategies that simultaneously control emotional labor and burnout to improve the happiness of long-term care workers. Lastly, from a policy perspective, it is necessary to continuously expand budgetary support for human resource management of long-term care workers in long-term care facilitie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온숙,김경화. (2025).노인요양시설 요양보호사의 감정노동과 행복감 간 관계에서 소진의 매개효과. 복지상담교육연구, 14 (1), 213-241

MLA

김온숙,김경화. "노인요양시설 요양보호사의 감정노동과 행복감 간 관계에서 소진의 매개효과." 복지상담교육연구, 14.1(2025): 213-24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