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초등학교에서 중학교로의 전환기 정서행동문제의 전이 양상 분석: 잠재프로파일 분석을 활용한 잠재집단 분류와 예측요인을 중심으로

이용수  124

영문명
Latent Transition Analysis of Emotional and Behavioral Problems During the Transition From Elementary to Middle School: Focusing on Latent Profile Classification and Predictors
발행기관
한국복지상담교육학회
저자명
허무녕 이희복
간행물 정보
『복지상담교육연구』제14권 제1호, 1~27쪽, 전체 27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4.30
6,0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초등학교 4학년 시기와 중학교 1학년 시기 정서행동문제의 전이 양상을 파악하고 각 시점의 잠재집단 분류에 영향을 미치는 예측요인을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 2018의 초등학교 4학년 중 1차년도와 4차년도 조사에 참여한 2,154명의 자료를 분석에 활용하였으며, 잠재프로파일분석과 잠재전이분석을 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교 4학년 시기 정서행동문제 잠재집단은 4개로 분류되었으며, 각각은 특성에 따라 저수준, 중수준, 고수준, 우울 우세 집단으로 명명되었다. 둘째, 중학교 1학년 시기 정서행동문제 잠재집단은 5개로 분류되었으며, 저수준과 중수준, 고수준, 우울 우세, 외현화 우세, 위축 우세 집단으로 명명되었다. 셋째. 초등학교 4학년 시기 정서행동문제 수준이 높은 집단에 속할수록 중학교 1학년 시기 문제행동이 높은 집단에 속할 확률이 높았으며, 초등학교 4학년 우울 우세 집단의 경우 중학교 1학년 시기에도 같은 집단으로 전이될 확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초등학교 4학년 시기 정서행동문제 잠재프로파일의 분류를 예측하는 요인으로 자아존중감과 친구관계, 교사와 관계는 모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잠재집단에 따라 영향력의 양상이 상이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중학교 1학년 시기 정서행동문제 잠재프로파일의 분류에는 자아존중감과 친구관계는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나 교사와 관계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청소년의 정서행동문제에 대한 개입방안의 시사점 및 후속연구에 대하여 제언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s the transition patterns of emotional and behavioral problems from the fourth grade of elementary school to the first grade of middle school and identifies key predictive factors influencing latent group classification at each time point. Using data from 2,154 students in the fourth-grade elementary school panel of the 2018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KCYPS 2018), latent profile analysis (LPA) and latent transition analysis (LTA) were conducted. The results revealed four latent groups in the fourth grade (low-level, moderate-level, high-level, and depression-dominant) and five in the first grade of middle school (low-level, moderate-level, high-level, depression-dominant, externalizing-dominant, and withdrawal-dominant). Students in higher-risk groups in elementary school were more likely to transition into higher-risk groups in middle school, with those in the depression-dominant group showing strong stability across time. Additionally, self-esteem, peer relationships, and teacher-student relationships significantly predicted the classification of latent profiles in elementary school, though their influence varied by group. In middle school, self-esteem and peer relationships remained significant predictors, whereas teacher-student relationships did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Based on these findings, implications for interventions targeting adolescents’ emotional and behavioral problems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discussed.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IV.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허무녕,이희복. (2025).초등학교에서 중학교로의 전환기 정서행동문제의 전이 양상 분석: 잠재프로파일 분석을 활용한 잠재집단 분류와 예측요인을 중심으로. 복지상담교육연구, 14 (1), 1-27

MLA

허무녕,이희복. "초등학교에서 중학교로의 전환기 정서행동문제의 전이 양상 분석: 잠재프로파일 분석을 활용한 잠재집단 분류와 예측요인을 중심으로." 복지상담교육연구, 14.1(2025): 1-2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