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고립 청년들의 탈고립 과정과 심리상담의 역할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이용수  238

영문명
A Phenomenological Study of Isolated Young Adults’ De-isolation Process and the Role of Psychological Counseling
발행기관
한국복지상담교육학회
저자명
이상민 손영미
간행물 정보
『복지상담교육연구』제14권 제1호, 131~158쪽, 전체 28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4.30
6,1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고립 청년들의 탈고립 경험을 탐색하고, 그 과정에서의 심리상담 경험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고립을 벗어나는 과정에서 심리상담을 받았던 청년 6명을 대상으로 심층면접을 실시하였다. 면담 내용을 Giorgi의 현상학적 방법으로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 83개의 의미단위, 30개의 하위구성요소, 8개의 구성요소, 2개의 주제가 도출되었다. 고립 청년의 탈고립 경험에서 드러난 구성요소는 ‘내․외적 요인으로 내몰리게 된 고립의 삶’, ‘탈고립에 대한 암담함과 고립의 늪’, ‘고립 청년을 둘러싼 지지체계 부족’, ‘탈고립을 향한 몸부림: 자기자각과 환경과의 유기적 협동’, ‘여전히 아물지 않은 고립의 흉터’이었다. 고립 청년의 심리상담 경험으로는 ‘상담 초기과정에서의 두려움’, ‘탈고립에 대한 상담의 동반자적 역할’, ‘외상 후 성장의 가능성을 열어줌’ 등 3개의 주제가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는 고립 청년들의 고립과 탈고립 과정에 대한 심층적인 이해를 제공하고, 탈고립 과정에서 심리상담의 역할과 기능에 대해 확인하는데 의의가 있다. 또한 본 연구 결과는 고립 청년들을 위한 심리상담적 개입 방안을 모색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ed to explore the de-isolation experiences of socially isolated young adults and examine their psychotherapy experiences during this process. For this purpose,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six young adults who had undergone psychotherapy during their de-isolation process. The interview data were analyzed using Giorgi’s phenomenological method, resulting in 83 meaning units, 30 sub-components, 8 components, and 2 main themes. The components identified in the de-isolation experiences of socially isolated young adults included: ‘A life of isolation driven by internal and external factors’, ‘Despair about de-isolation and the swamp of isolation’, ‘Lack of support systems surrounding socially isolated young adults’, ‘Struggles toward de-isolation: Self-awareness and organic cooperation with the environment’, and ‘Unhealed scars of isolation’. Regarding their psychotherapy experiences, three main themes emerged: ‘Fear in the early stages of therapy’, ‘The companion role of psychotherapy in de-isolation’, and ‘Opening the possibility for post-traumatic growth’. These findings provide a deeper understanding of the isolation and de-isolation processes of socially isolated young adults and highlight the role and function of psychotherapy in de-isolation. Furthermore, these results may serve as a foundational resource for developing psychotherapeutic intervention strategies for socially isolated young adult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상민,손영미. (2025).고립 청년들의 탈고립 과정과 심리상담의 역할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복지상담교육연구, 14 (1), 131-158

MLA

이상민,손영미. "고립 청년들의 탈고립 과정과 심리상담의 역할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복지상담교육연구, 14.1(2025): 131-15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