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사회복지시설종사자의 감정노동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이용수 219
- 영문명
- The Effect of Social Welfare Facility Workers’ Emotional Labor on Job Satisfaction: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Resilience
- 발행기관
- 한국복지상담교육학회
- 저자명
- 제갈 선아
- 간행물 정보
- 『복지상담교육연구』제14권 제1호, 189~212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4.30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실증적 조사연구는 사회복지시설종사자들의 감정노동 요인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구조적 관계에서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한다. 이를 기초로 사회복지기관에서 사회복지시설종사자의 조직몰입과 직무만족도를 고취하기 위한 전략을 모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수도권에 소재하는 사회복지시설에 재직 중인 사회복지시설종사자를 대상으로 2024년 9월 1일부터 9월 30일 까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수집된 자료는 SPSS 21.0과 AMOS 21.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감정노동의 수준이 높을수록 직무만족도가 높아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둘째, 감정노동의 수준이 높을수록 회복탄력성이 높아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셋째, 회복탄력성의 수준이 높을수록 직무만족도가 높아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감정노동과 직무만족도의 관계에서 회복탄력성은 부분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이러한 실증적 연구 결과는 사회복지시설종사들의 조직몰입과 직무만족을 위한 근무 환경 개선이나 재직자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이론적이고 실천적인 함의가 있다.
영문 초록
This empirical research study aims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resilience in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the emotional labor factors of social welfare facility workers and their job satisfaction. Based on this, the purpose is to seek strategies to promote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job satisfaction of social welfare facility workers in social welfare institutions. To achieve this purpose, a survey was conducted from September 1 to September 30, 2024 targeting social welfare facility workers working in social welfare facilities located in the metropolitan area.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1.0 and AMOS 21.0 programs.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t was confirmed that the higher the level of emotional labor, the higher the job satisfaction. Second, it was confirmed that the higher the level of emotional labor, the higher the resilience. Third, it was confirmed that the higher the level of resilience, the higher the job satisfaction. In addition, it was verified that resilience had a partial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labor and job satisfaction. These empirical research results have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for improving the working environment or developing employee programs for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job satisfaction of social welfare facility worker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신혼기 남녀의 내면화된 수치심이 부부친밀감에 미치는 영향: 관계진솔성과 지각된 배우자 지지의 순차매개효과
- 사회복지시설종사자의 감정노동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노인요양시설 요양보호사의 감정노동과 행복감 간 관계에서 소진의 매개효과
- 심리극 전문가의 디렉팅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 초등학교에서 중학교로의 전환기 정서행동문제의 전이 양상 분석: 잠재프로파일 분석을 활용한 잠재집단 분류와 예측요인을 중심으로
- 주의력 결핍/과잉행동 장애 초등학생의 학교 내 공격행동에 대한 다중체계치료 사례연구
- 고립 청년들의 탈고립 과정과 심리상담의 역할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 알코올 사용장애 예측요인에 대한 국내 연구의 체계적 문헌고찰
- 소매틱(somatic) 마음챙김 기반의 중년기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과 효과검증
- 당뇨병 환자의 주관적 스트레스와 우울 증상 간의 관계에서 사회적 관계망의 조절효과
- 고령친화 지역사회환경이 노인의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사회참여활동의 매개효과와 건강상태의 조절된 매개효과
- 청소년의 정신건강과 복합중독과의 관계: 성별 차이를 중심으로
- 대학생의 거부민감성이 자살사고에 미치는 영향: 인지적 유연성과 비자기결정적 고독 동기의 순차적 매개효과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BEST
- 사회복지의 법적 실천에 관한 탐색적 연구
- 코로나19로 인한 일상생활의 변화가 코로나블루에 미치는 영향
- 한국과 미국의 사회복지 윤리강령 비교연구 : 비밀보장, 이중관계, 문화적 다양성, 결함이 있는 동료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NEW
- 한국케어매니지먼트 연구 제55호 목차
- 노인의 자원봉사활동동기 및 가족건강성이 긍정노후인식에 미치는 영향 : 욕구충족도의 조절된 매개효과
- 만성질환 노인의 돌봄 수혜경험 : 요양보호사 돌봄서비스 이용자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