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주의력 결핍/과잉행동 장애 초등학생의 학교 내 공격행동에 대한 다중체계치료 사례연구

이용수  141

영문명
A Case Study of Multi-systemic Therapy for Aggressive Behavior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with Attention 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발행기관
한국복지상담교육학회
저자명
김윤희
간행물 정보
『복지상담교육연구』제14권 제1호, 243~281쪽, 전체 39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4.30
7,4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주의력 결핍/과잉행동 장애 진단을 받은 초등학생이 보이는 심각한 공격행동을 개선시키기 위해 다중체계치료를 실시한 사례연구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다중체계치료가 ADHD 초등학생의 심각한 학교 내 공격행동에 유망한 접근이라는 점을 확인하는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치료전후 변화를 보기 위해서 표준화 검사인 아동행동평가척도 부모용(K-CBCL)과 교사용(K-TRF)을 치료전후 평가하였으며, 기초선과 중재기간에 걸쳐 문제행동발생빈도를 매일 측정하였다. 치료의 핵심목표는 1) 공격행동 감소 2) 자해 및 자살시도 감소 3) 순응행동증가 4) 교실이탈행동 감소 5) 친사회적 행동 증가로 설정하였다. 실행단계에서 아동을 둘러싼 체계별로 다체계적 전략을 실시하였다. 개인체계에는 분노조절기술훈련 및 투약관리를, 가정에는 행동적부모훈련(Behavioral Parental Training), 학교가정노트(School-home notes)를 실시하였다. 교사체계에는 대체행동 차별강화(칭찬) 교사교육, 학교가정노트, 타임아웃을, 학급체계에는 현장 모니터링 및 즉시위기개입, 학급전체 사회성기술훈련 등을 실시하였다. 마지막으로 지역사회 차원에서 위기상황마다 경찰출동을 지원받았다. 연구결과, 기초선에 비해 중재기간의 문제행동 발생율이 71.26% 감소하였다. 중재기간이 끝나기 2주전부터 문제행동이 발생하지 않았다. Ma(2006)의 PEM을 계산한 결과 98%로 매우 높은 중재효과를 나타내었다. 아동의 문제행동에 대한 부모평정에서 사전에 임상 및 준임상 수준이었던 척도들이 사후에 모두 정상수준으로 회복한 것으로 나타났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s a case study of the use of multi-systemic therapy to improve the severe aggressive behavior exhibited by elementary school students diagnosed with attention 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firm that multi-systemic therapy is a promising approach to severe aggressive behavior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with attention 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To achieve this goal, the pre- and post-treatment changes were assessed using the standardised assessment tools, the K-CBCL for parents and the K-TRF for teachers, and the frequency of problem behaviour was measured daily throughout the baseline and intervention periods. The core goals of the treatment were set as 1) reducing aggressive behavior, 2) reducing self-harm and suicide attempts, 3) increasing compliance behavior, 4) reducing classroom escape behavior, and 5) increasing prosocial behavior. In the implementation phase, a multi-systemic strategy was implemented for each system surrounding the child. Individual intervention included anger management skills training and medication management, while behavioral parental training and school-home notes were implemented in the family. Teacher systems implementation included alternative behavior differential reinforcement (praise) teacher training, school-home notes, and time-outs, while classroom systems intervention included on-site monitoring and immediate crisis intervention, and social skills training for the entire class. Finally, at the community level, the police were dispatched to assist in crisis situation. The research results showed that the incidence of problem behavior during the intervention period decreased by 71.26% compared to the baseline. No problem behaviors were observed two weeks before the end of the intervention period. The PEM calculated by Ma (2006) showed a very high intervention effect of 98%. In the parent rating of the child's problem behavior, the scales that were previously at the clinical and subclinical levels all returned to normal levels after the intervention.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윤희. (2025).주의력 결핍/과잉행동 장애 초등학생의 학교 내 공격행동에 대한 다중체계치료 사례연구. 복지상담교육연구, 14 (1), 243-281

MLA

김윤희. "주의력 결핍/과잉행동 장애 초등학생의 학교 내 공격행동에 대한 다중체계치료 사례연구." 복지상담교육연구, 14.1(2025): 243-28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