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소매틱(somatic) 마음챙김 기반의 중년기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과 효과검증
이용수 151
- 영문명
- Development and Effectiveness Verification of a Somatic Mindfulness-based Midlife Group Counseling Program
- 발행기관
- 한국복지상담교육학회
- 저자명
- 김미영 조민아
- 간행물 정보
- 『복지상담교육연구』제14권 제1호, 159~187쪽, 전체 2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4.30
6,2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소매틱 마음챙김 기반의 중년기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전문가의 자문을 받아 프로그램 개발모형에 따라 수정․보완하여 총8회기로 구성된 최종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프로그램의 효과 검증을 위해 D시, S시와 C도에 있는 중년기 41명을 대상(성별-남10명, 여31명, 연령별-40대 17명, 50대 19명, 60대 5명)으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 배정하고 사전, 사후, 추후 시점에 따라 비교하였다. 측정도구로는 주관적 안녕감, 마음챙김, 자기자비, 신체자각 척도를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중년기의 주관적 안녕감, 마음챙김, 자기자비, 신체자각 수준에 대하여 소매틱 마음챙김 기반 집단상담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이 통제집단에 비해 효과가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그리고 질적분석에서도 주의력 증진, 신체자각 증진 등의 신체적 변화와 심리적 편안함, 알아차림의 증진 등 심리적 변화가 되었다고 보고하였다. 마지막으로 기존의 연구와 비교하여 논의한 후에 이 연구의 제한점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somatic mindfulness-based middle-aged group counseling program and verify its effectiveness. To this end, the final program consisting of a total of 8 sessions was developed by modifying and supplementing the program development model with expert advice. In order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41 middle-aged people in D City, S City, and C Province (by gender- 10men, 31women, by age- 17 in their 40s, 19 in their 50s, and 5 in their 60s) were assigned to an experimental group and a control group and compared at pre-, post-, and follow-up points. The subjective well-being, mindfulness, self-compassion, and body awareness scales were used as measurement tools.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the experimental group that participated in the somatic mindfulness-based group counseling program showed a significant effect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in terms of the level of subjective well-being, mindfulness, self-compassion, and body awareness in middle-aged people. In addition, qualitative analysis reported physical changes such as increased attention and increased body awareness, and psychological changes such as increased psychological comfort and awareness. Finally, we discuss comparisons with existing research and present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신혼기 남녀의 내면화된 수치심이 부부친밀감에 미치는 영향: 관계진솔성과 지각된 배우자 지지의 순차매개효과
- 사회복지시설종사자의 감정노동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노인요양시설 요양보호사의 감정노동과 행복감 간 관계에서 소진의 매개효과
- 심리극 전문가의 디렉팅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 초등학교에서 중학교로의 전환기 정서행동문제의 전이 양상 분석: 잠재프로파일 분석을 활용한 잠재집단 분류와 예측요인을 중심으로
- 주의력 결핍/과잉행동 장애 초등학생의 학교 내 공격행동에 대한 다중체계치료 사례연구
- 고립 청년들의 탈고립 과정과 심리상담의 역할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 알코올 사용장애 예측요인에 대한 국내 연구의 체계적 문헌고찰
- 소매틱(somatic) 마음챙김 기반의 중년기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과 효과검증
- 당뇨병 환자의 주관적 스트레스와 우울 증상 간의 관계에서 사회적 관계망의 조절효과
- 고령친화 지역사회환경이 노인의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사회참여활동의 매개효과와 건강상태의 조절된 매개효과
- 청소년의 정신건강과 복합중독과의 관계: 성별 차이를 중심으로
- 대학생의 거부민감성이 자살사고에 미치는 영향: 인지적 유연성과 비자기결정적 고독 동기의 순차적 매개효과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BEST
- 사회복지의 법적 실천에 관한 탐색적 연구
- 코로나19로 인한 일상생활의 변화가 코로나블루에 미치는 영향
- 한국과 미국의 사회복지 윤리강령 비교연구 : 비밀보장, 이중관계, 문화적 다양성, 결함이 있는 동료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NEW
- 한국케어매니지먼트 연구 제55호 목차
- 노인의 자원봉사활동동기 및 가족건강성이 긍정노후인식에 미치는 영향 : 욕구충족도의 조절된 매개효과
- 만성질환 노인의 돌봄 수혜경험 : 요양보호사 돌봄서비스 이용자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