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유아 음악극 관련 연구 동향 분석

이용수  19

영문명
An Analysis of Research Trends in Music Drama for Young Children
발행기관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저자명
김동환 배율미
간행물 정보
『어린이문학교육연구』제22권 제3호, 379~398쪽, 전체 20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1.09.30
5,2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유아 음악극 관련 연구들의 동향을 살펴봄으로써 앞으로의 유아 음악극 연구 방향을 제시하고자 2001년부터 2021년 동안 국내에서 발표된 유아 음악극에 관한 논문 101편을 분석하였으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2006년도를 기점으로 유아 음악극 연구가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고, 2016년부터 최근까지 유아 음악극 연구가 가장 많이 이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를 대상으로 한 연구가 가장 많았으며 교사를 대상으로 한 연구, 음악극 관련 문헌 및 연구물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순서대로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양적연구가 가장 많았으며 질적연구, 문헌연구, 혼합연구가 순서대로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연구 주제 유형으로는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검증이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 교사교육 및 전문성 증진에 관한 연구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음악극에 사용된 곡의 유형으로는 창작동요, 외국동요, 클래식곡, 전래동요, 대중음악이 순서대로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음악극에 사용된 동화 유형으로는 환상동화, 전래동화, 사실동화, 기타, 정보동화가 순서대로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연구 효과 변인으로는 음악성 발달을 살펴본 연구가 가장 많았으며 사회성 발달, 창의성 발달, 정서발달, 언어발달, 인지발달을 살펴본 본 연구가 순서대로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유아 음악극 관련 연구 동향을 파악함으로써 관련 연구수행과 유아교육현장에서 효과적인 유아 음악극 실행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cent research trends of music drama for young children and to suggest directions for follow-up research on music drama for young children. This study analyzed 101 selected research papers from 2001 to 2021 in South Korea.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the following. First, the analysis results by period showed a rapid increase in the number of the studies beginning in 2006, and the largest number of studies were carried out since 2016. Second, most of the studies were investigated on young children, followed by teachers and literatures. Third, when examining the analysis results by research method, quantitative studies were prevalent, followed by qualitative studies, literature surveys, and mixed studies. Fourth, most of the studies were conducted on developing educational programs on music drama for young children and tried to investigate the effectiveness of those programs. As for the types of songs used in music drama for young children, creative children’s songs, world children’s songs, classical music, traditional children’s songs, and popular music were used in that order. As for the types of stories used in music drama for young children, fantasy fairy tales, traditional fairy tales, realistic fairy tales, stories created by children and teachers, and informational fairy tales were used in that order. Fifth, as variables for examining research effects, variables related to musical development were used the most, followed by variables related to social development, creativity development, emotional development, language development, and cognitive development. This study may serve as a valuable foundation for early childhood music drama research and basic data in the field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by examining the recent research trends of music drama for young children.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동환,배율미. (2021).유아 음악극 관련 연구 동향 분석. 어린이문학교육연구, 22 (3), 379-398

MLA

김동환,배율미. "유아 음악극 관련 연구 동향 분석." 어린이문학교육연구, 22.3(2021): 379-39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