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상황 중심 동화를 활용한 안전교육이 유아의 자기조절능력과 안전문제해결력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30
- 영문명
- The Effects of Safety Education using Situation-centered Fairy Tales on Young Children's Self-control Capability and Safety Problem Solving Skills
- 발행기관
-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 저자명
- 김선정 김승희
- 간행물 정보
- 『어린이문학교육연구』제22권 제3호, 87~107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09.30
5,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상황 중심 동화를 활용한 안전교육이 유아의 자기조절능력과 안전문제해결력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광주광역시의 H 유치원 만 3세 유아 36명(실험집단 18명, 비교집단 18명)으로, 실험집단은 상황 중심 동화를 활용한 안전교육에, 비교집단은 안전교육에 관한 이야기 나누기 활동에 참여하였다. 실험 처치는 2019년 8월 18일부터 10월 18일까지 9주 동안 총 16회 시행되었다. 연구결과, 상황 중심 동화를 활용한 안전교육에 참여한 실험집단 유아의 자기조절능력과 안전문제해결력이 유의하게 향상한 것으로 나타났다. 자기조절능력의 3개 하위요인과 안전문제해결력의 2개 하위요인에서 실험집단 점수가 비교집단보다 유의하게 향상하였다. 이는 상황 중심 동화를 활용한 안전교육이 유아의 자기조절능력과 안전문제해결력에 미치는 긍정적 영향을 보여준다. 본 연구는 상황 중심 동화를 활용하여 다양한 교수-학습 활동을 포함하는 안전교육이 유아의 자기조절능력과 안전문제해결력을 효과적으로 증진할 수 있음을 입증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유아의 자기조절능력과 안전문제해결력을 증진할 수 있는 안전교육에 관한 정보를 제공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afety education using situation-centered fairy tales on young children’s self-control capability and safety problem solving skills. The participants for this study consisted of 36 three-year-old children who were going to H kindergarten in Gwangju metropolitan city. Half of them belonged to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other half to the comparative group. The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ed in safety education using situation-centered fairy tales, and the comparative group used storytelling activities about safety education.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a total of 16 times for 9 weeks from the 18th of August to the 18th of October in 2019. The results of this study demonstrated that the self-control capability and safety problem solving skills of the experimental group were improved meaningfully. The scores of three subcategories of self-control capability and two subcategories of safety problem solving skills of the experimental group were meaningfully higher than those of the comparative group. This result demonstrates that safety education using situation-centered fairy tales affected positively young children’s self-control capability and safety problem solving skills. This study proved that safety education including different teaching-learning activities using situation-centered fairy tales could increase young children’s self-control capability and safety problem solving skills effectively. As a result, this study provides information about safety education to improve young children’s self-control capability and safety problem solving skill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2019 개정 누리과정에 대한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들의 우려와 기대
- 어머니의 거부민감성이 어머니-자녀 애착에 미치는 영향: 자기지향 완벽주의의 조절효과
- 유아의 실행기능이 언어능력에 미치는 영향: 조망수용능력과 듣기능력의 매개효과
- 어린이집 조직건강과 보육교사의 조직헌신 간의 관계에서 원장 도덕적 리더십의 매개효과
- 유아 음악극 관련 연구 동향 분석
- 세렌디피티(serendipity)구성요인과 관련된 놀이의 창발적 속성과 의미: 놀이기록 다시 보기를 중심으로
- Bruno Munari 그림책의 포스트모던적 성격 연구
- 영아교사의 마음조율에 대한 교사배경과 심리적 특성의 영향
- 어린이박물관 교사들의 교사학습공동체 참여 경험의 의미 - 서울 소재 어린이박물관의 실시간 온라인 교육프로그램 운영 사례를 중심으로 -
- 유아교사의 놀이성과 놀이교수효능감의 관계에서 셀프리더십의 매개효과
- 그림책 배경으로서의 '비'의 역할
- 상황 중심 동화를 활용한 안전교육이 유아의 자기조절능력과 안전문제해결력에 미치는 영향
-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영양교육이 유아의 식습관과 영양 지식 및 언어표현력에 미치는 영향
- 사진찍기를 통한 수학책 만들기가 유아의 수학능력, 수학적 태도, 언어표현력에 미치는 영향
- 다문화 그림책 반복적 읽기과정에서의 유아 반응연구
- 퍼지셋 질적비교분석(fs/QCA)을 활용한 만 3세아 부모의 유아교육기관 선택 결정요인
- 만 4세 하늘반 유아들의 일상적 문학향유에 대한 의미 탐색
- 개정 누리과정 교사교육 방향 모색을 위한 보육교사의 어려움 탐색 - 공공형 어린이집을 중심으로 -
- 다문화교육에 대한 교사인식 연구동향 분석
- 창작 그림책에 나타난 동물 등장인물의 특성 및 인간과의 관계 분석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영유아교육과정연구 제15권 제4호 목차
- Merleau-Ponty의 ‘몸’ 현상학을 통해 본 유아의 그림책 읽기
- 유아 놀이를 바라보는 교사의 귀 기울이기 과정과 유아-교사 관계 탐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