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다문화교육에 대한 교사인식 연구동향 분석
이용수 9
- 영문명
- A Review of Research on Teachers' Perceptions of Multicultural education
- 발행기관
-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 저자명
- 김정희 정정희
- 간행물 정보
- 『어린이문학교육연구』제22권 제3호, 203~225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09.30
5,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최근 4차 산업혁명 및 저출산·고령화로 혼인수급이 불균형해지면서 외국인과 혼인하는 국제결혼의 비율이 빠른 속도로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변화되는 사회에서 다문화교육은 우리를 사회에 성공적으로 적응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중요한 교육이다. 그 중에서도 교육적 변화의 유무를 결정하는데 있어서 가장 핵심이 되는 교사의 인식은 중요성이 크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2000년 이후부터 현재까지 다문화교육에 대한 교사의 인식에 대해 어떻게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는지 국내학술지를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총 176편을 연구연도에 따른 동향, 연구방법에 따른 동향, 연구대상에 따른 동향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연도별 동향에서 2012∼2014년도에 가장 많은 연구논문이 발표되었다. 또한, 연구방법에 따른 동향에서는 양적연구가 가장 많았으며, 그 중에서도 연구도구로서 설문지가 가장 많이 사용되었다. 마지막으로 연구대상에 따른 동향에서는 유아교사가 가장 많았으며, 그중에서도 현직교사가 가장 많이 연구된 것을 살펴볼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다문화 교육에 대한 교사의 인식에 대한 연구 흐름을 살펴보고 이에 따라 연구 흐름의 방향을 잡아 다문화 교육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plores trends in teacher’s perception research in the field of multicultural education study and suggests research directions for future studies. This study analyzed 176 teachers’ perception articles on multicultural aspects published from 2000 to 2018. The Study findings are as follows: The analyses by year showed that the number of articles had increased since its first appearance in 2006, with a dramatic increase overall in the years 2012 through 2014. The analyses on methodology showed that quantitative studies were most frequently used(79.26%) followed by qualitative studies (18.90%) and literature reviews(1.82%) respectively. Finally, the subject of the studies was the most prolific field of study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Although research on multicultural education in the area of teachers’ perception has focused on various topics and experienced rapid growth, it is suggested that further investigation on program development, teacher education, policy making, and improvement in practices are required in the future.
목차
Ⅰ.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Ⅱ. 연구방법
Ⅳ. 결과 및 해석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어린이박물관 교사들의 교사학습공동체 참여 경험의 의미 - 서울 소재 어린이박물관의 실시간 온라인 교육프로그램 운영 사례를 중심으로 -
- 다문화교육에 대한 교사인식 연구동향 분석
- 어머니의 거부민감성이 어머니-자녀 애착에 미치는 영향: 자기지향 완벽주의의 조절효과
- 영아교사의 마음조율에 대한 교사배경과 심리적 특성의 영향
- Bruno Munari 그림책의 포스트모던적 성격 연구
- 만 4세 하늘반 유아들의 일상적 문학향유에 대한 의미 탐색
- 세렌디피티(serendipity)구성요인과 관련된 놀이의 창발적 속성과 의미: 놀이기록 다시 보기를 중심으로
- 어린이집 조직건강과 보육교사의 조직헌신 간의 관계에서 원장 도덕적 리더십의 매개효과
- 퍼지셋 질적비교분석(fs/QCA)을 활용한 만 3세아 부모의 유아교육기관 선택 결정요인
- 사진찍기를 통한 수학책 만들기가 유아의 수학능력, 수학적 태도, 언어표현력에 미치는 영향
- 창작 그림책에 나타난 동물 등장인물의 특성 및 인간과의 관계 분석 연구
-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영양교육이 유아의 식습관과 영양 지식 및 언어표현력에 미치는 영향
- 개정 누리과정 교사교육 방향 모색을 위한 보육교사의 어려움 탐색 - 공공형 어린이집을 중심으로 -
- 그림책 배경으로서의 '비'의 역할
- 상황 중심 동화를 활용한 안전교육이 유아의 자기조절능력과 안전문제해결력에 미치는 영향
- 유아의 실행기능이 언어능력에 미치는 영향: 조망수용능력과 듣기능력의 매개효과
- 2019 개정 누리과정에 대한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들의 우려와 기대
- 유아교사의 놀이성과 놀이교수효능감의 관계에서 셀프리더십의 매개효과
- 유아 음악극 관련 연구 동향 분석
- 다문화 그림책 반복적 읽기과정에서의 유아 반응연구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