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어린이박물관 교사들의 교사학습공동체 참여 경험의 의미 - 서울 소재 어린이박물관의 실시간 온라인 교육프로그램 운영 사례를 중심으로 -
이용수 18
- 영문명
- A Study on the Implications of Teachers' Participation in the Teacher Learning Community of the Children's Museum - Focused on Cases of Live-Streaming Online Education Programs operated by the Children's Museum in Seoul
- 발행기관
-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 저자명
- 이나리 김민진
- 간행물 정보
- 『어린이문학교육연구』제22권 제3호, 351~378쪽, 전체 2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09.30
6,1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유아 대상의 실시간 온라인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운영한 S어린이박물관 교사들의 교사학습공동체 참여 경험의 의미를 탐색하는 것에 목적을 둔 사례연구이다. 연구현장은 서울 소재의 어린이박물관으로 연구기간은 2020년 3월부터 2021년 5월까지였으며, 연구참여자는 어린이박물관 교육홍보실에 근무하는 교사 8명이다. 연구결과, 유아를 대상으로 하는 실시간 온라인 교육프로그램의 개발과 운영을 위해 구성된 교사학습공동체 참여 경험은 어린이박물관 교사들에게 첫째, 교사의 디지털 역량을 강화하는 원동력, 둘째, 실천적 학습을 추구하는 교사로 성장하는 기회, 셋째, 유아의 발달 특성을 고려한 교육 설계 능력 향상의 계기, 넷째, 관점의 변화를 통해 낯선 것에 도전하게 하는 힘, 다섯째. 공유, 공감, 공생하는 안식처가 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새로운 도전에서의 교사학습공동체 필요성을 시사하고, 어린이박물관 교사 및 유아 교사의 전문성 신장을 위한 교사학습공동체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case study was to review the implications of ‘S’ Children’s Museum Teachers’ participation in the Teacher Learning Community; they developed and operated a live-streaming online education program. The location of this study was Children’s Museum in Seoul. The period of this study was from March to May 2020.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8 teachers working for the Department of Education and the P. R. department of the museum.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 teacher learning community for the live-streaming online education program had the following meanings for the teachers; First, it was a driving force of reinforcing teachers’ digital competence. Second, it provided an opportunity for the teachers to pursue practical teaching methods. Third, it also provided a chance for the teachers to enhance their competence in designing an education program that considers the developmental characteristics of preschoolers. Fourth, it was a driving force changing the viewpoints of the teacher and challenging them with unfamiliar things. Fifth, it meant a shelter for sharing, sympathy and symbiosis. These results of this study may well suggest the need for the teacher learning community in terms of new challenges by activating the teacher learning community to enhance the teacher’s and pre-school teacher’s professionalism at the Children’s Museum in Seoul.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어린이박물관 교사들의 교사학습공동체 참여 경험의 의미 - 서울 소재 어린이박물관의 실시간 온라인 교육프로그램 운영 사례를 중심으로 -
- 다문화교육에 대한 교사인식 연구동향 분석
- 어머니의 거부민감성이 어머니-자녀 애착에 미치는 영향: 자기지향 완벽주의의 조절효과
- 영아교사의 마음조율에 대한 교사배경과 심리적 특성의 영향
- Bruno Munari 그림책의 포스트모던적 성격 연구
- 만 4세 하늘반 유아들의 일상적 문학향유에 대한 의미 탐색
- 세렌디피티(serendipity)구성요인과 관련된 놀이의 창발적 속성과 의미: 놀이기록 다시 보기를 중심으로
- 어린이집 조직건강과 보육교사의 조직헌신 간의 관계에서 원장 도덕적 리더십의 매개효과
- 퍼지셋 질적비교분석(fs/QCA)을 활용한 만 3세아 부모의 유아교육기관 선택 결정요인
- 사진찍기를 통한 수학책 만들기가 유아의 수학능력, 수학적 태도, 언어표현력에 미치는 영향
- 창작 그림책에 나타난 동물 등장인물의 특성 및 인간과의 관계 분석 연구
-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영양교육이 유아의 식습관과 영양 지식 및 언어표현력에 미치는 영향
- 개정 누리과정 교사교육 방향 모색을 위한 보육교사의 어려움 탐색 - 공공형 어린이집을 중심으로 -
- 그림책 배경으로서의 '비'의 역할
- 상황 중심 동화를 활용한 안전교육이 유아의 자기조절능력과 안전문제해결력에 미치는 영향
- 유아의 실행기능이 언어능력에 미치는 영향: 조망수용능력과 듣기능력의 매개효과
- 2019 개정 누리과정에 대한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들의 우려와 기대
- 유아교사의 놀이성과 놀이교수효능감의 관계에서 셀프리더십의 매개효과
- 유아 음악극 관련 연구 동향 분석
- 다문화 그림책 반복적 읽기과정에서의 유아 반응연구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