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은유분석을 통한 예비유아교사의 동성애에 대한 사고유형 분석
이용수 0
- 영문명
- Metaphor Analysis of Homosexuality of Early Childhood Pre-service Teachers
- 발행기관
-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 저자명
- 이연선 연희정 김태경
- 간행물 정보
- 『어린이문학교육연구』제16권 제4호, 525~545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5.12.31
5,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들이 동성애를 어떻게 바라보고 있으며 그 원인이 무엇인지를 탐구해 보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한국 사회에서 다문화교육을 수행할 예비유아교사들의 동성애 대한 인식을 살펴보는 것은 성(gender)을 포함하여 문화의 개념을 다양하고 포괄적으로 접근하면서 한국사회가 시민교육과 다문화교육으로 나아가는데 의미있는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다는 생각에서 시도되었다. 이를 위해 부산, 경남지역 3, 4년제 대학 유아교육과에 재학 중인 에비유아교사 210명을 대상으로 하여, 2014년 10월 7일부터 24일까지 자료를 수집하였고, 177명의 설문지를 최종 연구자료로 선정하였다. 연구결과, 동성애에 대해 예비유아교사들은 은둔자, 사회적 소외자, 독특한 개성을 가진 자, 자유로운 개척자, 평범한 일반인, 타고난 자, 같은 성을 사랑하는 자, 혐오스러운 자, 이해불가한 자로 인식하고 있었다. 유아다문화교육이 사회적 편견과 고정관념을 해체하는 데서 시작한다고 볼 때, 동성애에 대한 예비유아교사들의 부정적 인식의 원인을 다각도에서 분석하고 다문화교육의 차원에서 동성애 개념을 새롭게 마련하는 것이 절실하다고 판단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s aims to examine how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ive homosexuality, and the rationale behind that. This study, examining the perception of homosexuality by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who are carrying out multicultural education in Korean society, was carried out has been made an attempt based on the thought that it would provide meaningful implications for Korean society to step forward to civic education and multicultural education with a diverse and comprehensive approach on the concept of culture including gender. For this study, the survey data were collected from 210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studying early childhood education of at three or four-year colleges in Busan and Gyeongnam area from 7th Oct 2014 to 24th Oct, and selected 177 questionnaires as final research data. The research showed the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ived homosexuals as hermits, a socially alienated class, persons of unique individuality, pioneers of freedom, ordinary persons, gifted persons, homosexual lovers, disgusting persons, and inexplicable persons. With a view-point that early childhood multicultural education would begin with abreak-up of social prejudices and stereotypes, it is considered to be absolutely necessary to analyze the reasons for the negative perceptions of homosexuality by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from various angles and to newly set up a concept of homosexuality on grounds of multicultural education.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 고 문 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경계 허물기’를 통해서 본 Shaun Tan의 『도착』
- 보육교사의 마음챙김, 행복감 및 영유아 권리존중 보육실행간의 관계
- 어린이집 정보공시제에 대한 보육교사의 인식 및 요구
- 만 1세반에서 짧은 이야기를 활용한 어휘-경험 통합 활동의 적용과정 탐색
- 예비유아교사가 경험한 이야기나누기 모의수업과 이야기나누기의 의미
-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과학활동이 유아의 과학적 문제해결력 및 언어이해력에 미치는 영향
- 권정생의 동화집 『하느님의 눈물』에 나타난 교육관 연구
- 전래동요를 활용한 집단놀이 활동이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 및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 은유분석을 통한 예비유아교사의 동성애에 대한 사고유형 분석
- 국내 초등학교 스토리텔링 수학교육 연구 현황 분석을 통한 유아수학교육에서의 연구방향 탐색
- 영아반 교사의 합반 운영 경험의 의미 탐색
- 예비유아교사의 소명감, 진로스트레스,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이 학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교사의 음악교육에 대한 지식과 음악교육에 대한 태도의 수준 및 유아의 음악적 성향 간의 관계
- 기본운동중심의 신체활동이 유아의 기초체력과 신체활동 즐거움에 미치는 효과
- 다문화 가정 아동의 분노원인에 관한 연구
- 그림책을 활용한 안전교육 활동이 안전지식과 안전문제해결에 미치는 효과
- 동화를 활용한 인성교육활동이 만 3세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효과
- 상위인지 전략을 활용한 교수법에 기초한 인성그림책 활동이 유아의 인성발달과 자기조절에 미치는 효과
- 유아문학교육과 함께 하는 유아교사 되기
- Quality of Kindergarteners’ Written Compositions at the Beginning of the School Year
- 수학적 어휘사용을 강조한 만 2세반 영아의 그림책 반복읽기에 관한 연구
- 통일 관련 그림책에 대한 내용 분석 및 유아의 반응
- 숀 탠(Shaun Tan)의 그림책에 나타난 포스트휴먼 탐색
- 예비교사의 다문화에 대한 인식과 태도
- '좋은 수업'에 대한 예비교사의 개념도 및 구조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유아교사의 회복탄력성과 전문성이 놀이중심 교육과정 실천역량에 미치는 영향
- 유아 디지털 놀이에 나타난 디지털 시민성 탐구
- 2019 개정 누리과정에서 평가에 대한 유아교사의 이해와 실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