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기본운동중심의 신체활동이 유아의 기초체력과 신체활동 즐거움에 미치는 효과
이용수 9
- 영문명
- The Effects of Physical Activity Based on Fundamental Movement on Young Children’s Physical Fitness and Enjoyment of Physical Activity
- 발행기관
-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 저자명
- 황지애 김성재
- 간행물 정보
- 『어린이문학교육연구』제16권 제4호, 435~468쪽, 전체 3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5.12.31
6,8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유아교사가 안정·이동·조작운동을 좀 더 쉽게 유아들에게 접근할 수 있도록 기본운동중심의 신체활동을 구성하여, 이러한 활동이 유아의 기초체력과 신체활동 즐거움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I시에 소재한 H어린이집의 만5세, 2개 학급의 유아들로서 실험집단 20명과 비교집단 20명 총40명이었고, 12주 동안 매일 20분씩 총60회, 실험집단은 기본운동중심의 신체활동에, 비교집단은 자유놀이중심의 바깥놀이 신체활동에 참여하였다. 유아의 기초체력의 측정은 유연성, 민첩성, 평형성, 순발력, 근지구력으로 구성된 안을섭(2005)의 기초체력검사 도구가 사용되었으며, 신체활동 즐거움검사는 자신감, 재미, 건강유지 및 미적체험, 협동심, 창의성 요인으로 이루어진 김인호(2010)의 도구를 일부 수정하여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기초체력은 기본운동중심의 신체활동에 참여한 실험집단 유아가 유연성, 민첩성, 평형성, 순발력, 근지구력에서 자유놀이중심의 바깥놀이 신체활동에 참여한 비교집단 유아보다 통계적으로 높은 점수를 보였다. 신체활동 즐거움 또한 실험집단 유아가 비교집단 유아에 비해 신체활동 즐거움의 모든 요인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나, 기본운동중심의 신체활동은 유아의 기초체력과 신체활동 즐거움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had the objective of examining what effects physical activity based on fundamental movement had on young children's physical fitness and enjoyment of physical activity by providing physical activity programs designed by day-care center teachers that enable a more child-friendly approach for stability movement, locomotor movement and manipulative movement. The subjects were 40 five-years old young children (20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20 in the comparison group) from two classes of H day-care center located in I city. The research was conducted in a total of 60 twenty minute daily sessions during a period of 12 weeks, where the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ed in physical activity based on fundamental movement and the comparison group participated in free outdoor physical activity. The measurement of the physical fitness of the young children was conducted on their flexibility, agility, balance, power and muscular endurance based on the physical fitness measurement tool designed by An Eul Seob (2005), and the measurement of enjoyment of physical activity was conducted on the elements of self-confidence, fun, maintenance of health and aesthetic experiences, cooperation and creativity based on the tool designed by Kim Inho (2010). The research results showed that the young children in the experimental group that participated in physical activity based on fundamental movement showed statistically higher measurements in flexibility, agility, balance, power and muscular endurance than that of the young children in the comparison group that participated in free outdoor physical activity. Young children in the experimental group also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higher measurements for enjoyment of physical activity than that of the young children in the comparison group, confirming that physical activity based on fundamental movement had a positive effects on both the physical fitness and also the enjoyment of physical activity of young children.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및 해석
Ⅳ. 논의 및 결론
참 고 문 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경계 허물기’를 통해서 본 Shaun Tan의 『도착』
- 보육교사의 마음챙김, 행복감 및 영유아 권리존중 보육실행간의 관계
- 어린이집 정보공시제에 대한 보육교사의 인식 및 요구
- 만 1세반에서 짧은 이야기를 활용한 어휘-경험 통합 활동의 적용과정 탐색
- 예비유아교사가 경험한 이야기나누기 모의수업과 이야기나누기의 의미
-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과학활동이 유아의 과학적 문제해결력 및 언어이해력에 미치는 영향
- 권정생의 동화집 『하느님의 눈물』에 나타난 교육관 연구
- 전래동요를 활용한 집단놀이 활동이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 및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 은유분석을 통한 예비유아교사의 동성애에 대한 사고유형 분석
- 국내 초등학교 스토리텔링 수학교육 연구 현황 분석을 통한 유아수학교육에서의 연구방향 탐색
- 영아반 교사의 합반 운영 경험의 의미 탐색
- 예비유아교사의 소명감, 진로스트레스,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이 학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교사의 음악교육에 대한 지식과 음악교육에 대한 태도의 수준 및 유아의 음악적 성향 간의 관계
- 기본운동중심의 신체활동이 유아의 기초체력과 신체활동 즐거움에 미치는 효과
- 다문화 가정 아동의 분노원인에 관한 연구
- 그림책을 활용한 안전교육 활동이 안전지식과 안전문제해결에 미치는 효과
- 동화를 활용한 인성교육활동이 만 3세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효과
- 상위인지 전략을 활용한 교수법에 기초한 인성그림책 활동이 유아의 인성발달과 자기조절에 미치는 효과
- 유아문학교육과 함께 하는 유아교사 되기
- Quality of Kindergarteners’ Written Compositions at the Beginning of the School Year
- 수학적 어휘사용을 강조한 만 2세반 영아의 그림책 반복읽기에 관한 연구
- 통일 관련 그림책에 대한 내용 분석 및 유아의 반응
- 숀 탠(Shaun Tan)의 그림책에 나타난 포스트휴먼 탐색
- 예비교사의 다문화에 대한 인식과 태도
- '좋은 수업'에 대한 예비교사의 개념도 및 구조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그림책 속 할아버지의 의미 분석
- 그림책의 글 텍스트 유무에 따른 4, 5세 유아의 읽기 반응 연구 -Mark Janssen의「Island」작품을 중심으로-
- 대화식 그림책 읽기를 통한 엄마와 만 2세 영아의 상호작용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