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그림책을 활용한 안전교육 활동이 안전지식과 안전문제해결에 미치는 효과
이용수 9
- 영문명
- The Effects of Safety Education Activities Based on Picture Books on Young Children’s Safety Knowledge and Safety Problem Solving Ability
- 발행기관
-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 저자명
- 김명화
- 간행물 정보
- 『어린이문학교육연구』제16권 제4호, 53~78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5.12.31
5,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그림책을 활용한 안전교육 활동이 유아의 안전지식과 안전문제해결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G시에 소재한 유치원 만 4세 2개 학급으로 실험집단(20명)은 그림책을 활용한 안전교육활동을 실시하였으며, 비교집단(20명)은 주제와 관련된 안전교육 활동을 실시하였다. 실험집단은 그림책을 읽고 그림책 속에 나오는 삽화와 내용을 안전에 관한 요소를 중심으로 활동을 접목하여 7주간 14회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그림책을 활용한 안전교육활동을 한 실험집단이 비교집단의 안전지식과 안전문제해결에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유아교육현장에서 그림책을 활용한 안전교육 활동이 유아의 안전지식과 안전문제해결에 대한 효과적인 교수-학습방법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the effects of safety education activities based on picture books on young children’s safety knowledge and safety problem solving ability. The subjects were randomly assigned 40 young children aged four years who attended one kindergarten located in ‘G’ city, South Korea. Twenty young children for the experimental group and twenty young children for the comparison group were selected. The children of the experimental group interacted with safety education activities using picture books and those in the comparison group listened to a picture books’ story. The experimental group combines the activities of the central elements of the artwork and information on safety comes into picture books to read picture books was carried out fourteen times during 7weeks. Analysis of data was conducted with ANCOVA using SPSS 18.0.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safety education activities using picture books enhanced young children's safety knowledge. Second, emotional experience activities using picture books enhanced young children's safety problem solving ability. In conclusion, safety education activities using picture books had a meaningf l on young children’s safety knowledge and safety problem solving ability. Therefore the present study results imply that safety education activities using picture books are worth using as a meaningf l teaching method in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field.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III. 연구결과 및 해석
Ⅳ. 논의 및 결론
참 고 문 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경계 허물기’를 통해서 본 Shaun Tan의 『도착』
- 보육교사의 마음챙김, 행복감 및 영유아 권리존중 보육실행간의 관계
- 어린이집 정보공시제에 대한 보육교사의 인식 및 요구
- 만 1세반에서 짧은 이야기를 활용한 어휘-경험 통합 활동의 적용과정 탐색
- 예비유아교사가 경험한 이야기나누기 모의수업과 이야기나누기의 의미
-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과학활동이 유아의 과학적 문제해결력 및 언어이해력에 미치는 영향
- 권정생의 동화집 『하느님의 눈물』에 나타난 교육관 연구
- 전래동요를 활용한 집단놀이 활동이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 및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 은유분석을 통한 예비유아교사의 동성애에 대한 사고유형 분석
- 국내 초등학교 스토리텔링 수학교육 연구 현황 분석을 통한 유아수학교육에서의 연구방향 탐색
- 영아반 교사의 합반 운영 경험의 의미 탐색
- 예비유아교사의 소명감, 진로스트레스,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이 학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교사의 음악교육에 대한 지식과 음악교육에 대한 태도의 수준 및 유아의 음악적 성향 간의 관계
- 기본운동중심의 신체활동이 유아의 기초체력과 신체활동 즐거움에 미치는 효과
- 다문화 가정 아동의 분노원인에 관한 연구
- 그림책을 활용한 안전교육 활동이 안전지식과 안전문제해결에 미치는 효과
- 동화를 활용한 인성교육활동이 만 3세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효과
- 상위인지 전략을 활용한 교수법에 기초한 인성그림책 활동이 유아의 인성발달과 자기조절에 미치는 효과
- 유아문학교육과 함께 하는 유아교사 되기
- Quality of Kindergarteners’ Written Compositions at the Beginning of the School Year
- 수학적 어휘사용을 강조한 만 2세반 영아의 그림책 반복읽기에 관한 연구
- 통일 관련 그림책에 대한 내용 분석 및 유아의 반응
- 숀 탠(Shaun Tan)의 그림책에 나타난 포스트휴먼 탐색
- 예비교사의 다문화에 대한 인식과 태도
- '좋은 수업'에 대한 예비교사의 개념도 및 구조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데이터 과학 기반 한국어 쓰기 학습자의 AI 활용 태도 분석 방향 - 쓰기 과정에 따른 태도 척도 개발을 중심으로
- 생성형 인공지능을 활용한 비공식 한국어 학습 - 학습자의 동기 부여 변화에 초점을 맞춘 내러티브 탐구
- 비원어민 네팔 예비 한국어 교사의 수업 개선에 대한 실행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