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유아교사의 회복탄력성과 전문성이 놀이중심 교육과정 실천역량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0
- 영문명
- Effect of early childhood teachers’ resilience and professional expertise on play oriented curriculum practice competency
- 발행기관
-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 저자명
- 남민우 오재연
- 간행물 정보
- 『어린이미디어연구』제24권 제2호, 159~187쪽, 전체 2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6.30
6,2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유아교사의 회복탄력성과 전문성이 놀이중심 교육과정 실천역량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G광역시에 소재한 유치원, 어린이집에 근무하는 유아교사 316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다. 본 연구결과, 유아교사의 회복탄력성과 전문성이 높을수록 놀이중심 교육과정 실천역량이 더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놀이중심 교육과정 실천역량 하위요인인 놀이이해와 유아존중요인, 성찰과 반영요인, 관찰과 기록요인, 놀이자료 및 공간지원요인, 놀이공동참여요인, 놀이상황 지원요인, 민주적인 교실운영요인, 소통과 협력요인 모든 변인에 유아교사의 회복탄력성과 전문성이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놀이중심 교육과정 실천역량의 모든 하위요인에 있어서 유아교사의 회복탄력성과 전문성 변인을 교육과정 실제에 반영하여 시대가 요구하는 효과적인 놀이중심 교육을 실현하고 교육에 연계함으로써 놀이중심 교육과정 실천역량을 더욱 향상시키는 노력이 필요하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early childhood teachers’ resilience and professional expertise on play-oriented curriculum practice competency. A survey was conducted among 316 early childhood teachers working at kindergartens and daycare centers located in G Metropolitan City, South Korea.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the higher the resilience and professional expertise of early childhood teachers, the higher their competency in play-oriented curriculum practice and its sub-factors. Early childhood teachers’ resilience and expertise were found to affect various aspects of play-based learning, including play understanding, infant respect, reflection, observation and recording, support of materials and space for play, joint participation, support of play situation, democratic classroom operation, communication and cooperation. These results indicate the need ot invest, efforts in further improving play-oriented curriculum practice competency by reflecting the resilience and professional expertise variable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in curriculum practice and linking them to education.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유아 디지털 놀이에 나타난 디지털 시민성 탐구
- 2019 개정 누리과정에서 평가에 대한 유아교사의 이해와 실천
- 유아 자아탄력성 관련 연구 동향 분석
- 유아의 미디어 이용에 대한 부모의 지도와 유아의 미디어 규칙 준수의 관계에서 미디어 조절력의 매개효과: 2023 어린이 미디어 이용 조사 데이터를 중심으로
- 유아교사의 회복탄력성과 전문성이 놀이중심 교육과정 실천역량에 미치는 영향
- 토픽모델링을 통한 영아교사․유아교사 전문성 관련 연구 키워드 분석
- 유아교육기관에서 교사의 인공지능(AI) 활용 실태 및 정책적 요구 분석
- 유아교사의 디지털매체 활용과 전문성이 테크놀로지 자아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 영아반 교사의 직업에 대한 인식과 직업정체성 함양을 위한 교사 연수 프로그램에 대한 요구: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중심으로
-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유아인공지능교육 연구 동향분석
- 보육교사의 안전관리 역량 강화를 위한 플립러닝 기반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 지속가능한 소비와 생산 양식의 보장(SDG12)을 위한 유아 업사이클링의 실행과 효과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