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경계 허물기’를 통해서 본 Shaun Tan의 『도착』
이용수 10
- 영문명
- Shaun Tan’s "The Arrival": a Story about the "Disintegration of Boundaries"
- 발행기관
-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 저자명
- 이성엽 이민경
- 간행물 정보
- 『어린이문학교육연구』제16권 제4호, 1~24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5.12.31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파편화된 서사의 양상을 보이지 않고 모더니즘적 서사세계의 특성인 질서 회복이라는 결말을 보여주는 Shaun Tan의 『도착』이 포스트모더니즘의 특성도 내포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것을 목표로 한다. 포스트모더니즘의 경계 허물기가 이 작품의 다양한 층위에서 구현되고 있음을 보여주고자 하였다. 그림책과 만화를 아우르는 장르 정체성, 역사적 사실과 허구의 경계를 허무는 사료편찬적 메타픽션으로서의 측면, 기억 속의 공간과 현재의 공간의 경계가 허물어지며 ‘액자 속 이야기(mise en abime)’를 통해 하나로 엮어지는 서사 세계, 적극적 해석자로서의 ‘글 쓰는’ 독자의 위상, 독자층 사이의 경계를 허물어버리는 크로스오버 작품으로서의 수용 가능성 등에서 경계 허물기의 흔적을 찾아볼 수 있다. 이 같은 다양한 층위에서의 경계 허물기는, 익숙한 공간인 고향을 떠난 이민자가 낯선 공간인 신세계에서 배척당하는 ‘주변인’이 아니라 그 곳의 다양한 거주민들과 똑같은 무게감을 가진 ‘존재’로 거듭나는 이야기를 보여주기 위한 글쓰기 전략이라고 할 수 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study one of the postmodern elements in Shaun Tan’s "The Arrival". The postmodernism is characterized by decanonization, indeterminacy, fragmentation, irony, hybridization, participation, etc. This paper focuses on analyzing the picturebook in terms of decanonization: the canon’s authority is diminished, whereas the value of the periphery is increased. That results in the dissolution of the boundary between center and periphery. This disintegration of boundaries is observable in "The Arrival" in various aspects: genre, relation between fiction and non-fiction, temporal aspect of the narrative, relationship between author and reader, and dual readership.
"The Arrival" is considered a picture book or a graphic novel according to its readership: in other words, it is between two genres in order to effectively interweave graphic narrative threads. This work is based on historical events: the narrative is interwoven with the western history of immigration at the beginning of the 20th century. This intertextuality that relates the historical events – which took place in New York, London and Australia – with the fiction makes the Australian picture book “historiographic metafiction”. When it comes to the narrative, the past stories of the major characters are inserted into the main present story: the past and the present are inseparably connected through the “mise en abîme” to the point of being fused into one. This temporal fusion is linked to the spatial and cultural connection between the homelands which the characters had to leave and the new land where they arrive to establish a new life.
The dissolution of boundaries is perceivable in the relation between the author and the reader: the “death” of the former has given the latter the right to interpret the text without paying attention to the author’s intention. "The Arrival" is a non-verbal and visual semiotic space where the reader, now in a position of control, takes an active role in the construction of meaning. Furthermore, this graphic text based on the intertextuality embraces dual readership as implied readers. For intertextuality – a textual mechanism which shows a correlation between dual reception and the background knowledge of readers – intertwines the fiction and History: young readers are excluded from the latter, while adult readers have access to both of them. Because The Arrival transcends boundaries in the various aspects as stated above, it may be considered as an iconotext that bears postmodern features.
목차
Ⅰ. 서론
II. 장르 층위에서의 경계 허물기
III. 역사와 허구의 경계 허물기: 사료편찬적 메타픽션
IV. 서사세계 내에서의 경계 허물기
V. 수용 층위에서의 경계 허물기
VI. 결 론
참 고 문 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경계 허물기’를 통해서 본 Shaun Tan의 『도착』
- 보육교사의 마음챙김, 행복감 및 영유아 권리존중 보육실행간의 관계
- 어린이집 정보공시제에 대한 보육교사의 인식 및 요구
- 만 1세반에서 짧은 이야기를 활용한 어휘-경험 통합 활동의 적용과정 탐색
- 예비유아교사가 경험한 이야기나누기 모의수업과 이야기나누기의 의미
-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과학활동이 유아의 과학적 문제해결력 및 언어이해력에 미치는 영향
- 권정생의 동화집 『하느님의 눈물』에 나타난 교육관 연구
- 전래동요를 활용한 집단놀이 활동이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 및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 은유분석을 통한 예비유아교사의 동성애에 대한 사고유형 분석
- 국내 초등학교 스토리텔링 수학교육 연구 현황 분석을 통한 유아수학교육에서의 연구방향 탐색
- 영아반 교사의 합반 운영 경험의 의미 탐색
- 예비유아교사의 소명감, 진로스트레스,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이 학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교사의 음악교육에 대한 지식과 음악교육에 대한 태도의 수준 및 유아의 음악적 성향 간의 관계
- 기본운동중심의 신체활동이 유아의 기초체력과 신체활동 즐거움에 미치는 효과
- 다문화 가정 아동의 분노원인에 관한 연구
- 그림책을 활용한 안전교육 활동이 안전지식과 안전문제해결에 미치는 효과
- 동화를 활용한 인성교육활동이 만 3세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효과
- 상위인지 전략을 활용한 교수법에 기초한 인성그림책 활동이 유아의 인성발달과 자기조절에 미치는 효과
- 유아문학교육과 함께 하는 유아교사 되기
- Quality of Kindergarteners’ Written Compositions at the Beginning of the School Year
- 수학적 어휘사용을 강조한 만 2세반 영아의 그림책 반복읽기에 관한 연구
- 통일 관련 그림책에 대한 내용 분석 및 유아의 반응
- 숀 탠(Shaun Tan)의 그림책에 나타난 포스트휴먼 탐색
- 예비교사의 다문화에 대한 인식과 태도
- '좋은 수업'에 대한 예비교사의 개념도 및 구조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