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Quality of Kindergarteners’ Written Compositions at the Beginning of the School Year

이용수  0

영문명
발행기관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저자명
김혜원
간행물 정보
『어린이문학교육연구』제16권 제4호, 199~222쪽, 전체 24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5.12.31
5,6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quality of written compositions produced by kindergarteners at the beginning of the school year and the relationship of foundational literacy skills to quality of writing. Participants in this study included 103 kindergarteners from three urban and suburban elementary schools in a Midwestern state in the United States. The participating children completed two main tasks for this study: writing task and literacy assessments. In the results, at the beginning of the school year, children drew a simple character or setting, which was slightly related to their writing. Half of the kindergarteners used unconventional forms of writing; and they expressed one or two ideas in their written composition, whereas they expressed two or three ideas in their spoken composition. In relation to characteristics of foundational literacy skills. children were able to write their first names with some capitals; they recognized approximately 18 letters among 28 lower case letters; for alphabet writing, children`s letters were recognizable, but had some reversals; they knew approximately 10 of 16 letter-sounds; and, they segmented 7.6 beginning phonemes out of 10 words.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level of quality of written compositions and each of five foundational skills. Overall foundational knowledge accounted for 41% of the variance in writing quality.

영문 초록

본 연구는 연 초의 만 5세 유아들이 쓰기의 질과 기본 문해 기술과 쓰기의 질 간의 관계를 알아보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 참여자는 미국 중서부의 한 주에 위치한 도시와 그 근교 세 곳의 유치원 만 5세 103명 유아이다. 본 연구에 참여한 유아들을 대상으로 쓰기와 다섯 가지의 문해 검사(이름쓰기, 소문자 인식, 알파벳 쓰기, 소리-글자 관계, 첫 음소 분절)를 실시하였다. 결과로서, 유치원 연 초에, 유아들은 간단한 등장인물 또는 상황을 그림으로 그렸고, 이는 그들의 쓰기와 약간 관계가 있다. 유아의 반 정도는 비 관례적 쓰기를 한다. 그들이 쓰기를 읽을 때는 두 개 또는 세 개의 생각을 표현하는 반면, 그들의 실제로 작성한 쓰기에서는 한 개 또는 두 개의 생각의 표현되어 있었다. 문해 기술과 관련하여서는, 유아들은 몇몇의 대문자와 함께 자신의 이름을 쓸 수 있었고, 28개의 소문자 중 대략 18개를 인지하고 있었다. 알파벳 쓰기의 경우, 일부는 반대 형태로 쓰기도 했고, 16개 중 대략 10개의 글자-소리 관계를 알고 있었다. 10개의 단어 중 7.6개의 첫 음소를 분절 할 수 있었다. 쓰기의 질의 수준과 각각의 다섯 개의 기본 문해 기술 간에는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전반적으로 기본 문해 지식은 쓰기 질의 41%를 예측한다고 볼 수 있겠다.

목차

Ⅰ. Introduction
II. Method
III. Results
IV. Discussion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혜원. (2015).Quality of Kindergarteners’ Written Compositions at the Beginning of the School Year. 어린이문학교육연구, 16 (4), 199-222

MLA

김혜원. "Quality of Kindergarteners’ Written Compositions at the Beginning of the School Year." 어린이문학교육연구, 16.4(2015): 199-22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