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과학활동이 유아의 과학적 문제해결력 및 언어이해력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1
- 영문명
- Effect of Scientific Problem Solving Capability and Language Comprehension Ability of the Science Activity Storytelling
- 발행기관
-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 저자명
- 조형숙 김순희 오성은
- 간행물 정보
- 『어린이문학교육연구』제16권 제4호, 267~292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5.12.31
5,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과학실험활동이 유아의 과학적 문제해결력과 언어이해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의 대상은 경기도 시흥시 소재 Y 유치원 만4세반 유아 40명이며 10주 동안 총10회에 걸쳐 실험집단에는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과학실험 활동을, 비교집단에는 스토리텔링을 활용하지 않은 일반적인 과학 실험을 실시하였다. ‘과학적 문제해결력’과 ‘언어이해력’ 검사 도구를 사용, 자료를 수집하였고 t-검증을 통해 그 효과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과학실험 활동은 유아의 과학적 문제해결력과 언어이해력 향상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과학적 문제해결력의 하위 요소인 문제의 발견 및 진술, 문제해결에 대한 아이디어 제안 및 적용과 언어이해력의 하위 요소인 그림 이해와 이야기 이해에서 실험집단이 비교집단보다 의미 있는 향상이 나타났다.
영문 초록
This research’s purpose is to examine the effect of science activity storytelling language comprehension ability and scientific problem solving capability of children. The participants of the research were 40 children of age 4 who attend Y kindergarten in Shiheung, Gyeonggido. The experimental group engaged in science experiment-related science activity storytelling for 10 times over a period of 10 weeks. At the same time, the comparison group engaged in 10 science experiment without doing science activity storytelling. For measurement, used the t – verification to know analysis the effect of using the scientific problem solving capability and language comprehension ability. The result from science activity storytelling for scientific experiment that makes good effects to child’s scientific problem solving capability and language comprehension ability. We’ve got a meaningful effect from experimental group than comparison group for the find the problem and statement, suggest idea of solve the problem and understanding in low rank factor of problem solving capability.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결과 및 해석
Ⅳ. 논의 및 결론
참 고 문 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경계 허물기’를 통해서 본 Shaun Tan의 『도착』
- 보육교사의 마음챙김, 행복감 및 영유아 권리존중 보육실행간의 관계
- 어린이집 정보공시제에 대한 보육교사의 인식 및 요구
- 만 1세반에서 짧은 이야기를 활용한 어휘-경험 통합 활동의 적용과정 탐색
- 예비유아교사가 경험한 이야기나누기 모의수업과 이야기나누기의 의미
-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과학활동이 유아의 과학적 문제해결력 및 언어이해력에 미치는 영향
- 권정생의 동화집 『하느님의 눈물』에 나타난 교육관 연구
- 전래동요를 활용한 집단놀이 활동이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 및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 은유분석을 통한 예비유아교사의 동성애에 대한 사고유형 분석
- 국내 초등학교 스토리텔링 수학교육 연구 현황 분석을 통한 유아수학교육에서의 연구방향 탐색
- 영아반 교사의 합반 운영 경험의 의미 탐색
- 예비유아교사의 소명감, 진로스트레스,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이 학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교사의 음악교육에 대한 지식과 음악교육에 대한 태도의 수준 및 유아의 음악적 성향 간의 관계
- 기본운동중심의 신체활동이 유아의 기초체력과 신체활동 즐거움에 미치는 효과
- 다문화 가정 아동의 분노원인에 관한 연구
- 그림책을 활용한 안전교육 활동이 안전지식과 안전문제해결에 미치는 효과
- 동화를 활용한 인성교육활동이 만 3세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효과
- 상위인지 전략을 활용한 교수법에 기초한 인성그림책 활동이 유아의 인성발달과 자기조절에 미치는 효과
- 유아문학교육과 함께 하는 유아교사 되기
- Quality of Kindergarteners’ Written Compositions at the Beginning of the School Year
- 수학적 어휘사용을 강조한 만 2세반 영아의 그림책 반복읽기에 관한 연구
- 통일 관련 그림책에 대한 내용 분석 및 유아의 반응
- 숀 탠(Shaun Tan)의 그림책에 나타난 포스트휴먼 탐색
- 예비교사의 다문화에 대한 인식과 태도
- '좋은 수업'에 대한 예비교사의 개념도 및 구조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