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예비유아교사가 경험한 이야기나누기 모의수업과 이야기나누기의 의미

이용수  0

영문명
Circle Time Simulated Instruction Experienced by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the Meanings of Circle Time
발행기관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저자명
서현 이승은
간행물 정보
『어린이문학교육연구』제16권 제4호, 333~363쪽, 전체 31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5.12.31
6,5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의 이야기나누기 모의수업을 관찰 한 후 예비유아교사는 이야기나누기 모의수업을 통해 어떤 경험을 하고 있으며, 이들은 이야기나누기를 어떤 의미로 실천해야 하는지에 대한 방향성을 탐색해 보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S시 유아교육과 3학년 7명의 모의수업을 1학기동안 15회 관찰하면서 면담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예비유아교사가 이야기나누기 모의수업에서 경험하는 것은 첫째, 예비유아교사의 역량에 따라 달라지는 이야기나누기를 경험하였고, 둘째 이야기 ‘나누기’가 아닌 이야기를 ‘하는’ 예비유아교사를 경험하고 있었다. 이를 통해 예비유아교사들은 이야기나누기의 의미를 어떻게 이해하고 실천해야 하는지 그 방향성을 탐색한 결과 자유로운 소통을 통한 공동체를 형성해야 한다는 것을 시사 받을 수 있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observe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Circle Time’ simulated instruction and examine what experiences they had through the Circle Time’ simulated instruction and to explore directions with regard to the meanings of their Circle Time practice. For these purposes, this study observed 15 sessions of simulated instruction for a semester conducted by seven juniors majoring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 S City and interviewed the participants. The results showed first that Circle Time varies depending on the teachers’ competence; and there is a difference between ‘doing’ stories rather than ‘sharing’ stories. Second, the results of examining directions with regard to how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should understand the meaning of Circle Time and practice it suggested that a community for free communication should be formed.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와 제언
참 고 문 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서현,이승은. (2015).예비유아교사가 경험한 이야기나누기 모의수업과 이야기나누기의 의미. 어린이문학교육연구, 16 (4), 333-363

MLA

서현,이승은. "예비유아교사가 경험한 이야기나누기 모의수업과 이야기나누기의 의미." 어린이문학교육연구, 16.4(2015): 333-36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