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예비유아교사가 경험한 이야기나누기 모의수업과 이야기나누기의 의미
이용수 0
- 영문명
- Circle Time Simulated Instruction Experienced by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the Meanings of Circle Time
- 발행기관
-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 저자명
- 서현 이승은
- 간행물 정보
- 『어린이문학교육연구』제16권 제4호, 333~363쪽, 전체 3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5.12.31
6,5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의 이야기나누기 모의수업을 관찰 한 후 예비유아교사는 이야기나누기 모의수업을 통해 어떤 경험을 하고 있으며, 이들은 이야기나누기를 어떤 의미로 실천해야 하는지에 대한 방향성을 탐색해 보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S시 유아교육과 3학년 7명의 모의수업을 1학기동안 15회 관찰하면서 면담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예비유아교사가 이야기나누기 모의수업에서 경험하는 것은 첫째, 예비유아교사의 역량에 따라 달라지는 이야기나누기를 경험하였고, 둘째 이야기 ‘나누기’가 아닌 이야기를 ‘하는’ 예비유아교사를 경험하고 있었다. 이를 통해 예비유아교사들은 이야기나누기의 의미를 어떻게 이해하고 실천해야 하는지 그 방향성을 탐색한 결과 자유로운 소통을 통한 공동체를 형성해야 한다는 것을 시사 받을 수 있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observe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Circle Time’ simulated instruction and examine what experiences they had through the Circle Time’ simulated instruction and to explore directions with regard to the meanings of their Circle Time practice. For these purposes, this study observed 15 sessions of simulated instruction for a semester conducted by seven juniors majoring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 S City and interviewed the participants. The results showed first that Circle Time varies depending on the teachers’ competence; and there is a difference between ‘doing’ stories rather than ‘sharing’ stories. Second, the results of examining directions with regard to how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should understand the meaning of Circle Time and practice it suggested that a community for free communication should be formed.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와 제언
참 고 문 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경계 허물기’를 통해서 본 Shaun Tan의 『도착』
- 보육교사의 마음챙김, 행복감 및 영유아 권리존중 보육실행간의 관계
- 어린이집 정보공시제에 대한 보육교사의 인식 및 요구
- 만 1세반에서 짧은 이야기를 활용한 어휘-경험 통합 활동의 적용과정 탐색
- 예비유아교사가 경험한 이야기나누기 모의수업과 이야기나누기의 의미
-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과학활동이 유아의 과학적 문제해결력 및 언어이해력에 미치는 영향
- 권정생의 동화집 『하느님의 눈물』에 나타난 교육관 연구
- 전래동요를 활용한 집단놀이 활동이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 및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 은유분석을 통한 예비유아교사의 동성애에 대한 사고유형 분석
- 국내 초등학교 스토리텔링 수학교육 연구 현황 분석을 통한 유아수학교육에서의 연구방향 탐색
- 영아반 교사의 합반 운영 경험의 의미 탐색
- 예비유아교사의 소명감, 진로스트레스,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이 학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교사의 음악교육에 대한 지식과 음악교육에 대한 태도의 수준 및 유아의 음악적 성향 간의 관계
- 기본운동중심의 신체활동이 유아의 기초체력과 신체활동 즐거움에 미치는 효과
- 다문화 가정 아동의 분노원인에 관한 연구
- 그림책을 활용한 안전교육 활동이 안전지식과 안전문제해결에 미치는 효과
- 동화를 활용한 인성교육활동이 만 3세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효과
- 상위인지 전략을 활용한 교수법에 기초한 인성그림책 활동이 유아의 인성발달과 자기조절에 미치는 효과
- 유아문학교육과 함께 하는 유아교사 되기
- Quality of Kindergarteners’ Written Compositions at the Beginning of the School Year
- 수학적 어휘사용을 강조한 만 2세반 영아의 그림책 반복읽기에 관한 연구
- 통일 관련 그림책에 대한 내용 분석 및 유아의 반응
- 숀 탠(Shaun Tan)의 그림책에 나타난 포스트휴먼 탐색
- 예비교사의 다문화에 대한 인식과 태도
- '좋은 수업'에 대한 예비교사의 개념도 및 구조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그림책 속 할아버지의 의미 분석
- 그림책의 글 텍스트 유무에 따른 4, 5세 유아의 읽기 반응 연구 -Mark Janssen의「Island」작품을 중심으로-
- 대화식 그림책 읽기를 통한 엄마와 만 2세 영아의 상호작용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