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Value, Challenges, and Approaches of Cultivating Digital Literacy among Primary and Secondary School Teachers in the Context of Digital Education
- 발행기관
- YIXIN 출판사
- 저자명
- Huan Lin 허준(Joon Heo)
- 간행물 정보
- 『Journal of Education and Teaching』Vol.3 No.9, 8~15쪽, 전체 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9.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The cultivation of digital literacy among primary and secondary school teachers is a core aspect of promoting the digital transformation of education and enhancing overall teachingquality.It is also an inevitable requirement for adapting to the development of the digital era. However,digital education currently faces numerous challenges in practice,including insufficient digital awareness among primary and secondary school teachers,significant shortcomings in digitalknowledge and technical skills,inadequate opportunities for systematic training,and an underdeveloped supportive and safeguarding mechanism.To address these challenges,we can focus on systematically promoting the enhancement of digital literacy among primary and secondary school teachers through the following pathways:enhancing teachers'digital cognition and willingness to accept;systematically strengthening their digital knowledge structure and technical application capabilities;constructing a multi-path and differentiated teacher training system; and establishing a long-term safeguarding mechanism involving collaboration among the government,educational research institutions,and schools.
영문 초록
中小学教师数字素养的培养,是推动教育数字化转型、提升整体教学质量的核心环节,也是应对数字化时代发展的必然要求。然而,当前数字化教育在实践中仍面临诸多挑战,包括中小学教师数字意识不足、数字知识与技术能力存在明显短板、系统化培训机会不足以及支持性保障机制尚未健全等问题。针对上述困境,可重点从以下路径系统推进中小学教师数字素养提升:增强教师的数字化认知与接受意愿;系统强化其数字知识结构与技术应用能力;构建多路径、差异化的教师培训体系;并建立政府、教研机构、学校多方协同的长效保障机制。
목차
Ⅰ. 引言
Ⅱ. 教师数字素养的内涵界定
Ⅲ. 中小学教师数字素养培育的价值体现
Ⅳ. 中小学教师数字素养的现实困境
Ⅴ. 中小学教师数字素养提升的实践路径
Ⅵ. 结语
参考文献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Journal of east Asian law studies Vol.2 No.3 Contents
- 博采众长:民国时期的比较婚姻法视域
- 新时代“枫桥经验”视域下民事案件诉前调解功能异化风险分析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