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직장 보육시설 시설장의 어려움, 보람 그리고 희망
이용수 2
- 영문명
- The Difficulties, Joys, and Hope of Workplace Child Care Institution Directors
- 발행기관
-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 저자명
- 이진옥 남상미 이대균
- 간행물 정보
- 『어린이문학교육연구』제12권 제2호, 297~320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1.12.31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직장보육시설 시설장들이 직장보육시설을 운영하면서 아픔으로 느끼는 다양한 고충과 다시 일어서게 하는 보람된 요소들, 그리고 지금이 있게 하는 내재된 열정과 미래에 대한 희망 등을 질적 연구방법으로 밝히고자 하였다. 2010년 6월부터 8월까지 총 3개월 동안 10명의 직장보육시설 시설장들을 연구 참여자로 하여 심층면담과 관련문서, 연구자와 연구 참여자들의 저널쓰기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한 자료를 분석한 결과, 직장보육시설 시설장들은 고충의 요소로 사업주의 무관심, 학부모의 지나친 요구, 담당 행정부서의 이원화로 인한 어려움을 갖고 있었고, 학부모들의 믿음과 지지, 보육의 질 향상을 위한 사업주와의 협력, 교사들의 전문성이 향상되는 모습에서 보람을 찾고 있었다. 또한 직장보육시설이 사업주들의 인식 전환과 정부의 체계적인 지원을 받아 학부모들로부터 우수 보육시설로 인정받기를 희망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nalyzed the meaning of the experiences of workplace child care institution directors in the process of operating the child care institutions. 10 directors of workplace child care institutions from D & B cities were chosen after considering their characteristics. Each participant had interviews twice through in-depth personal interviews and correspondence interviews. The research results are summarized into three main categories : difficulties, joys, and hope. The most difficult matter was the relationship with the business owners because they normally supported institutions passively and officers in charge did not have a good understanding of workplace child care centers. Second, the directors felt joys when they did their best as educators. The most joyful thing was the trust that parents and children showed. Finally, the directors reported their hope for more support from the government, not leaving the responsibility only on the companies. Presently the directors run the institutions with funding from the business owners and tuition fees from parent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및 해석
Ⅳ. 논의 및 제언
참 고 문 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부모의 안전지식, 안전교육 실행정도와 유아의 안전지식, 위험요소예측능력 간의 관계
- 사회적 이슈를 다룬 사실주의 그림책에 대한 유아의 문학적 반응
- 우리나라 그림책의 일본 번역판 연구: 표지와 저작권지를 중심으로
- 초등학교 저학년 동화 문체 분석 - 권정생의 <강아지똥>을 중심으로 -
- 유치원에서 자녀양육지원 프로그램 적용 효과
- 논픽션 도서 탐구 및 책 만들기 활동이 유아의 어휘력과 과학적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영향
- 그림책에 묘사된 아버지 양육참여 특성에 관한 연구
- 동화를 활용한 웃음활동이 유아의 자기조절력과 일상적 스트레스에 미치는 효과
- 정보그림책에 대한 만 2세 영아의 반응
- Dewey 교육론에 나타난 영유아 도덕교육의 의미
- 한국 애니매이션 “마당을 나온 암탉”에서 찾은 생태적 인식 및 유아교육적 의미 탐색
- 증강현실 그림책의 읽기방법에 따른 유아의 반응 비교
- 영유아교사의 심리적 안녕감과 교사헌신
- 유아교육기관에서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현상에 관한 질적연구
- 직장 보육시설 시설장의 어려움, 보람 그리고 희망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