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그림책에 묘사된 아버지 양육참여 특성에 관한 연구

이용수  1

영문명
A Study on Fathers’ Involvement Characteristics in Child Rearing as Portrayed in Picture Books
발행기관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저자명
최예린
간행물 정보
『어린이문학교육연구』제12권 제2호, 1~23쪽, 전체 23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1.12.31
5,5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그림책에 묘사된 아버지의 양육참여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아버지 양육참여와 관련된 그림책 총101권을 분석하였다. 그림책에 묘사된 아버지의 양육참여는 자녀와 함께 시간을 보냄, 정서적 지원, 돌봄에 참여, 놀이친구, 헌신하기, 책 읽어주기의 6가지로 범주화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정서적 지원자로서 아버지(26.5%)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다음으로는 자녀와 함께 시간을 보내는 아버지(22.7%), 돌봄을 제공하는 아버지(20.8%), 놀아주는 아버지(19.6%), 헌신하는 아버지(7.59%), 책 읽어주는 아버지(2.53%) 순으로 나타났다. 정서적 지원자로서 아버지의 양육특성은 자녀의 감정을 공감하는 아버지, 격려하는 아버지, 자녀에게 사랑을 표현하는 아버지로 나타났다. 자녀와 함께 시간을 보내는 아버지는 자녀가 원하는 것을 함께 해주기, 특별한 곳을 동행하기이고, 돌봄을 제공하는 아버지는 씻기, 먹이기, 재우기 등과 같은 돌봐주는 행위와 가사에 수동적으로 참여하는 것이다. 놀아주는 아버지는 자녀와 신체적 접촉을 통한 몸 놀이(만지기, 안기, 뽀뽀하기)를 하고, 놀이친구 되어주기이고, 헌신하는 아버지의 경우 자녀를 위해 희생하는 아버지와 노력하는 아버지로 묘사되었다. 책 읽어주는 아버지의 양육특성은 함께 책을 읽어주거나 잠자리에서 책을 읽어주는 아버지로 나타났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fathers’ involvement in child rearing as portrayed in picture books. To conduct this study, 101 picture books were analyzed related to child rearing by fathers. The fathers’ child rearing involvement was analyzed in terms of six categories, such as time together, emotional supporter, care-giver, play-partner, dedicator, and reading supporter. Fathers who support their children’ emotionally were in 26.5% of the books. Fathers who spent time together with their children were observed in 22.7% of the books. The father as care-giver was shown in 20.8% of the books, and as play-partner in 19.6% of the books. In 7.59% of the books, fathers were shown as dedicators for their children. Only about 2.53% of books described fathers as giving reading support.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the child rearing characteristics of fathers who were emotional supporters were empathy with children, encouragement of children and telling the children that they are loved. A father who spent time with his children participated in what his children were doing and took his children to interesting places. A father as care-giver helped with children’s basic needs (bathing, feeding) or worked on chores around the house. A father as play-partner showed physical contact (touching, hugging, kissing) to his children or being a friend to his children. A father as dedicator sacrificed for his children and tried to make his children happy. A father as reading supporter encouraged his children’s reading and read to his children at bedtime.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 고 문 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최예린. (2011).그림책에 묘사된 아버지 양육참여 특성에 관한 연구. 어린이문학교육연구, 12 (2), 1-23

MLA

최예린. "그림책에 묘사된 아버지 양육참여 특성에 관한 연구." 어린이문학교육연구, 12.2(2011): 1-2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