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Dewey 교육론에 나타난 영유아 도덕교육의 의미

이용수  0

영문명
The Meaning of Moral Education for Infant and Early Childhood in Dewey's Education Theory
발행기관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저자명
구수연 나성식
간행물 정보
『어린이문학교육연구』제12권 제2호, 201~220쪽, 전체 20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1.12.31
5,2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는 John Dewey의 문헌을 통해 듀이 교육론을 고찰함으로써 영아 및 유아교육에서의 도덕교육의 개념을 재정립하고 그에 따른 도덕교육을 방향을 모색하고자 하는 것이다. 듀이의 도덕교육은 ‘도덕 안에서의 교육’, ‘도덕적 관념’을 갖게 하는 교육을 말하며, 듀이의 도덕교육 개념이 영유아 도덕교육에 주는 의미는 첫째, 영유아 도덕교육의 목적은 성장이며, 자기통제를 통해서 모든 교육활동에서 반성적으로 ‘보다 더 좋음’을 선택하고 실천하는 것이다. 둘째, 영유아기의 도덕교육은 ‘나 좋음’의 선택에서 ‘우리 좋음’을 선택하는 성향을 발달시키는 것이다. 셋째, 영유아기의 모든 영역의 교육활동은 도덕교육의 의미가 고찰되어지는 통합적 도덕교육의 관점에서 접근되어야 한다. 넷째, 영유아들의 도덕적 성장을 위해서는 모든 교육활동 과정에서 반성적 선택과 실천의 자유가 보장되어야 한다. 다섯째, 영유아의 도덕적 성향 발달은 영유아가 자신들의 활동과정에서 자신을 조절함으로써 궁극적인 결과를 얻어내는 경험을 바탕으로 해야 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s to find the meaning of moral education for infant and young children through the consideration of Dewey’s education theory. The conclusions are: First, the goal of moral education is the ‘growing’, to develop the disposition to choose and practice ‘the better’ by reflection. Second, another goal of moral education in early childhood is to develop the disposition of choice for ‘the better-for-us’ beyond ‘the better-only-for-me’. Third, all activities in all curriculum are to be focused on the moral education approach. Fourth, it should be to guarantee the freedom of choice and practice in all activities. Fifth, the development of the young child’s moral disposition seeks to have them experience ‘self-control’ in all activities.

목차

I. 서론
II. Dewey 교육론과 ‘도덕’의 개념
III. 영유아 도덕교육의 개념과 의미
IV. 논의 및 결론
참 고 문 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구수연,나성식. (2011).Dewey 교육론에 나타난 영유아 도덕교육의 의미. 어린이문학교육연구, 12 (2), 201-220

MLA

구수연,나성식. "Dewey 교육론에 나타난 영유아 도덕교육의 의미." 어린이문학교육연구, 12.2(2011): 201-22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