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정보그림책에 대한 만 2세 영아의 반응
이용수 22
- 영문명
- Two Year Olds' Response to Informational Picture Books
- 발행기관
-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 저자명
- 김선희 전연우 조희숙
- 간행물 정보
- 『어린이문학교육연구』제12권 제2호, 121~146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1.12.31
5,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교육적 가치에 대한 믿음의 증가로 현재 국내외 출판계에서 각광받고 있는 정보그림책에 대하여 만 2세의 영아들이 어떻게 반응하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연구자 2인은 2011년 6월 28일부터 8월 30일까지 10주간 매주 2회씩 총 20회 동안 A어린이집의 만 2세반 2반을 방문하여 16명의 영아를 대상으로 자유놀이시간동안 도서영역에서 참여 관찰을 하였다. 연구 결과 영아들의 정보그림책에 대한 반응은 나 중심으로 말하기, 생각 넓히기, 정보그림책으로 놀이하기, 다양한 방식으로 보기의 4가지 형태로 유목화 할 수 있었다. 이는 정보그림책을 읽는 영아들에 대한 이해를 넓힐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정보그림책과 영아의 상호교류의 본질을 가시화하여, 교사와 부모들에게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discuss how infants respond to informational picture books that recently emerged in the publishing industry because of their educational value. For ten weeks, from June 28, 2011 to August 30, 2011, twice a week, researchers observed infants' responses to informational picture books in various reading areas. The study questions to fulfill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 How did the two year olds respond to informational picture books? The results of this study included improved self-centered reference and a broadening of their thoughts while playing and looking through informational books in a variety of ways. Two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that we deepened our understanding of infants who look through informational books and we further defined the nature of their interaction with these books. Eventually we will provide the implications for both teachers and parent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 고 문 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부모의 안전지식, 안전교육 실행정도와 유아의 안전지식, 위험요소예측능력 간의 관계
- 사회적 이슈를 다룬 사실주의 그림책에 대한 유아의 문학적 반응
- 우리나라 그림책의 일본 번역판 연구: 표지와 저작권지를 중심으로
- 초등학교 저학년 동화 문체 분석 - 권정생의 <강아지똥>을 중심으로 -
- 유치원에서 자녀양육지원 프로그램 적용 효과
- 논픽션 도서 탐구 및 책 만들기 활동이 유아의 어휘력과 과학적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영향
- 그림책에 묘사된 아버지 양육참여 특성에 관한 연구
- 동화를 활용한 웃음활동이 유아의 자기조절력과 일상적 스트레스에 미치는 효과
- 정보그림책에 대한 만 2세 영아의 반응
- Dewey 교육론에 나타난 영유아 도덕교육의 의미
- 한국 애니매이션 “마당을 나온 암탉”에서 찾은 생태적 인식 및 유아교육적 의미 탐색
- 증강현실 그림책의 읽기방법에 따른 유아의 반응 비교
- 영유아교사의 심리적 안녕감과 교사헌신
- 유아교육기관에서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현상에 관한 질적연구
- 직장 보육시설 시설장의 어려움, 보람 그리고 희망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유아의 미디어 이용에 대한 부모의 지도와 유아의 미디어 규칙 준수의 관계에서 미디어 조절력의 매개효과: 2023 어린이 미디어 이용 조사 데이터를 중심으로
- 유아 자아탄력성 관련 연구 동향 분석
- 유아 디지털 놀이에 나타난 디지털 시민성 탐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