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사회적 이슈를 다룬 사실주의 그림책에 대한 유아의 문학적 반응
이용수 2
- 영문명
- Young Children's Literary Responses to the Realistic Picture Books Reflecting the Current Social Issues
- 발행기관
-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 저자명
- 현은자 박소윤 조민희
- 간행물 정보
- 『어린이문학교육연구』제12권 제2호, 75~99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1.12.31
5,8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성폭력, 이혼, 따돌림과 같은 사회적 이슈를 담은 사실주의 그림책에 대해 유아가 어떻게 반응하고 해석하는지 언어적, 행동적 반응을 통해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시 관악구에 위치한 K유치원 만 5세 남녀 유아 16명과 교사가 사실주의 그림책을 읽고 토론하는 장면을 비디오 녹화와, 오디오 녹음을 통해 기록하였다. 사실주의 그림책에 대한 유아의 반응은 Sipe(2008)의 연구에 쓰인 5가지 반응범주로 분류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사실주의 그림책에 대한 유아의 반응을 전체적으로 살펴보면, ‘개인적 반응’이 425회(54.6%), ‘분석적 반응’이 279회(35.9%), ‘상호텍스트적 반응’은 45회(5.8%), '연행적 반응’이 17회(2.2%), ‘동화된 반응’이 12회(1.5%)순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사회적 이슈를 담은 사실주의 그림책이 유아에게 전혀 낯설고 어려운 주제가 아니며 유아들은 민감한 사회적 이슈와 격리된 존재가 아님을 알 수 있다. 또한 유아들은 사실주의 그림책의 그림보다 글에 더 분석적으로 반응하였으며, 사회 문제에 대한 정보를 주로 뉴스, 드라마 등 TV, 대중매체에서 얻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how young children respond to and interpret the realistic picture books reflecting the current social issues such as child sexual abuse, parents' divorce and exclusion by peers. The subjects were sixteen 5 years old attending K kindergarten in a suburb of Seoul. The children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of 5-6 children only for the reading aloud session. Three picture books were read to each group by the classroom teacher one at a time during 9 reading sessions lasting 9 weeks. Every reading session was recorded by a video camera and an audio cassette recorder and were transcribed later. The children's responses to the realistic picture books were classified into five categories drawn from Sipe (2008)'s classification scheme : personal, analytical, intertextual, performative and transparent response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frequency and ratio of each literary response were as follows : ‘personal response’ 425 times (54.6%), ‘analytical response’ 279 times (35.9%), ‘intertextual response’ 45 times (5.8%), ‘performative response’ 17 times (2.2%) and ‘transparent response’ 12 times (1.5%). The children's responses showed that it would not be new and strange for young children to encounter social issues represented in the picture books. However, young children usually get biased and inaccurate information regarding the social issues mostly through television programs such as TV news and drama. These findings imply that picture books could be the effective and educational media through which young children recognize and understand the social issues and, furthermore, find out the way to get help to solve the problem.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 고 문 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부모의 안전지식, 안전교육 실행정도와 유아의 안전지식, 위험요소예측능력 간의 관계
- 사회적 이슈를 다룬 사실주의 그림책에 대한 유아의 문학적 반응
- 우리나라 그림책의 일본 번역판 연구: 표지와 저작권지를 중심으로
- 초등학교 저학년 동화 문체 분석 - 권정생의 <강아지똥>을 중심으로 -
- 유치원에서 자녀양육지원 프로그램 적용 효과
- 논픽션 도서 탐구 및 책 만들기 활동이 유아의 어휘력과 과학적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영향
- 그림책에 묘사된 아버지 양육참여 특성에 관한 연구
- 동화를 활용한 웃음활동이 유아의 자기조절력과 일상적 스트레스에 미치는 효과
- 정보그림책에 대한 만 2세 영아의 반응
- Dewey 교육론에 나타난 영유아 도덕교육의 의미
- 한국 애니매이션 “마당을 나온 암탉”에서 찾은 생태적 인식 및 유아교육적 의미 탐색
- 증강현실 그림책의 읽기방법에 따른 유아의 반응 비교
- 영유아교사의 심리적 안녕감과 교사헌신
- 유아교육기관에서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현상에 관한 질적연구
- 직장 보육시설 시설장의 어려움, 보람 그리고 희망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그림책 속 할아버지의 의미 분석
- 그림책의 글 텍스트 유무에 따른 4, 5세 유아의 읽기 반응 연구 -Mark Janssen의「Island」작품을 중심으로-
- 대화식 그림책 읽기를 통한 엄마와 만 2세 영아의 상호작용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