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유아교육기관에서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현상에 관한 질적연구
이용수 15
- 영문명
- A Qualitative Study on the Reciprocal Actions Between Teachers and Children at Early Childhood Education Iinstitutions
- 발행기관
-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 저자명
- 백경순
- 간행물 정보
- 『어린이문학교육연구』제12권 제2호, 261~275쪽, 전체 1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1.12.31
4,6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유아교육 현장에서 이루어지는 교사-유아의 상호작용이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지 그 현상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유치원 교사 8명으로 하였으며, 교사 면담을 통하여 자료를 수집하였고 면담내용은 학기초에서 학기말 그리고 등원에서부터 귀가까지 이루어지는 상호작용의 전반적인 분야로 하였다. 자료수집은 교사의 면담내용을 녹음하였고, 녹음내용을 전사한 후에 질적인 분석을 하였다. 연구결과, 전반적으로 유치원 교사들은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대해 교사 자신이 가지고 있는 한계점을 드러내는 현상을 보였다. 구체적으로 첫째, 교사들은 자신이 가지고 있는 교육철학과 동떨어진 상호작용에 대하여 딜레마를 가지고 있었다. 둘째, 교사 자신이 가지고 있는 지식과 교수실제와의 차이를 느끼고 있었다. 셋째, 교사들은 유아들의 마음을 이해하는 정서적인 지원을 하는데 한계를 느끼고 있었다. 결론적으로 유아교육의 질적 수준을 높이기 위하여 진정한 양방향적인 의사소통의 실현을 위한 다양한 지원과 교사의 융통적인 사고방식 함양을 위한 지원 그리고 사회・정서적 지원 또는 일상생활 지도를 위한 지원이 필요하며, 직전교육에서는 실천력있는 교사교육의 필요성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This particular study focuses on the reciprocal interactions between teachers and children at these aforementioned institutions. The test subjects were 8 kindergarten teachers, who were constantly monitored during their class time with young children. The recorded data was then analyzed qualitatively. This study revealed some limitations of the teachers (test subjects) in their interactions with young children. Firstly, the philosophical ideas of the teachers proved to be a dilemma in their interaction with young children. Secondly, the gap between theory and practical application became apparent. Thirdly, providing emotional support to their young children proved to be difficult. In conclusion, the necessary requirements to improve the quality of education are as follows : a) Providing aids for mutual communication between teachers and young children. b) Providing aids for developing the open-mindedness of teachers. c) Providing aids for effective development of the habits of young children and in-service training for teacher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및 해석
Ⅳ. 논의 및 제언
참 고 문 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부모의 안전지식, 안전교육 실행정도와 유아의 안전지식, 위험요소예측능력 간의 관계
- 사회적 이슈를 다룬 사실주의 그림책에 대한 유아의 문학적 반응
- 우리나라 그림책의 일본 번역판 연구: 표지와 저작권지를 중심으로
- 초등학교 저학년 동화 문체 분석 - 권정생의 <강아지똥>을 중심으로 -
- 유치원에서 자녀양육지원 프로그램 적용 효과
- 논픽션 도서 탐구 및 책 만들기 활동이 유아의 어휘력과 과학적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영향
- 그림책에 묘사된 아버지 양육참여 특성에 관한 연구
- 동화를 활용한 웃음활동이 유아의 자기조절력과 일상적 스트레스에 미치는 효과
- 정보그림책에 대한 만 2세 영아의 반응
- Dewey 교육론에 나타난 영유아 도덕교육의 의미
- 한국 애니매이션 “마당을 나온 암탉”에서 찾은 생태적 인식 및 유아교육적 의미 탐색
- 증강현실 그림책의 읽기방법에 따른 유아의 반응 비교
- 영유아교사의 심리적 안녕감과 교사헌신
- 유아교육기관에서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현상에 관한 질적연구
- 직장 보육시설 시설장의 어려움, 보람 그리고 희망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제29권 제2호 목차
- 보육시설종사자의 감정노동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유아교사를 위한 기후변화 교육프로그램 개발과 적용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