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증강현실 그림책의 읽기방법에 따른 유아의 반응 비교
이용수 0
- 영문명
- Comparison of Young Children's Reading of a Picture Book with Reading of an Augmented Reality Picture Book
- 발행기관
-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 저자명
- 현은자 연혜민 최경
- 간행물 정보
- 『어린이문학교육연구』제12권 제2호, 147~162쪽, 전체 1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1.12.31
4,7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증강현실 그림책을 일반 종이그림책처럼 읽는 방법과 증강현실 기술을 적용하여 읽는 방식에 따라 유아의 반응에 어떤 차이가 있는지 조사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만 5세 유아 34명을 17명씩 각각 두 집단에 무선 배정하고 한 집단은 일반 그림책처럼 읽게 하고 다른 집단은 증강기술을 이용해서 읽도록 했다. 종속 변인으로는 책을 읽는데 소요되는 시간, 만족도, 이해도, 단어 회상능력을 측정하였다. 연구 결과는 첫째, 증강 그림책을 일반 그림책처럼 읽을 때 한 페이지 당 소요되는 시간, 한 권 전체를 읽는데 소요되는 시간 모두 증강그림책으로서 읽을 때 보다 더 많은 시간이 걸렸다. 둘째, 증강현실 그림책의 읽기방법에 따른 유아의 만족도에는 두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셋째, 증강현실 그림책보다 일반그림책처럼 읽을 때 내용 이해도가 더 높았으나 등장인물 이해도에서는 두 집단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넷째, 유아의 단어회상능력은 두 집단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증강현실 그림책을 유아들이 어떻게 경험하고 있는지를 밝힘으로서 증강현실 그림책의 개발 시 고려해야 할 사항과 새로운 미디어를 이용한 읽기, 쓰기 지도방법에 대한 연구가 필요함을 제안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whether there is any differences in children's responses to an AR picture book between two groups who read the AR picture book in two different ways respectively. Participants were 34 5-year old children who attended two classes of M kindergarten in G City, Gyeong-gi Province.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 First, young children who read the picture book not activating AR technology spent more time reading the text and the images of the book than their counterparts. Children who read the book activating AR technology were likely to turn the pages of the book as soon as the augmented reality images appeared on the computer screen. Secondly, there was no difference in children's level of satisfaction with the books between two groups. Thirdly, young children who read the augmented reality picture book like a normal printed picture book, were able to comprehend the story of the book better than those who read it using augmented reality technology. Finally, there was no difference in children's word recall between two groups. The most important finding was that children were likely to focus on augmented images rather than the text, not paying much attention to the story of the book. This study would provide some considerations in utilizing AR picture books in more developmentally appropriate ways for young children as well as a new way of literacy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growing up in a new media environment.
목차
I.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 고 문 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부모의 안전지식, 안전교육 실행정도와 유아의 안전지식, 위험요소예측능력 간의 관계
- 사회적 이슈를 다룬 사실주의 그림책에 대한 유아의 문학적 반응
- 우리나라 그림책의 일본 번역판 연구: 표지와 저작권지를 중심으로
- 초등학교 저학년 동화 문체 분석 - 권정생의 <강아지똥>을 중심으로 -
- 유치원에서 자녀양육지원 프로그램 적용 효과
- 논픽션 도서 탐구 및 책 만들기 활동이 유아의 어휘력과 과학적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영향
- 그림책에 묘사된 아버지 양육참여 특성에 관한 연구
- 동화를 활용한 웃음활동이 유아의 자기조절력과 일상적 스트레스에 미치는 효과
- 정보그림책에 대한 만 2세 영아의 반응
- Dewey 교육론에 나타난 영유아 도덕교육의 의미
- 한국 애니매이션 “마당을 나온 암탉”에서 찾은 생태적 인식 및 유아교육적 의미 탐색
- 증강현실 그림책의 읽기방법에 따른 유아의 반응 비교
- 영유아교사의 심리적 안녕감과 교사헌신
- 유아교육기관에서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현상에 관한 질적연구
- 직장 보육시설 시설장의 어려움, 보람 그리고 희망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그림책 속 할아버지의 의미 분석
- 그림책의 글 텍스트 유무에 따른 4, 5세 유아의 읽기 반응 연구 -Mark Janssen의「Island」작품을 중심으로-
- 대화식 그림책 읽기를 통한 엄마와 만 2세 영아의 상호작용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