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중등 교과서 한국 전통복식문화 교육의 재현 방식 변화: 텍스트와 시각자료 분석을 중심으로

이용수  0

영문명
Changes in the Representation of Korean Traditional Dress Culture Education in Secondary School Textbooks: Focusing on Textual and Visual Analysis
발행기관
한국가정과교육학회
저자명
심준영
간행물 정보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제37권 제3호, 163~176쪽, 전체 14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9.30
4,4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제3차부터 제7차 교육과정 시기의 중⋅고등학교 교과서에 수록된 전통복식문화 내용을 분석하여 그 변화 양상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교과서 내 텍스트를 OCR을 통해 전환한 후 텍스트마이닝(TF-IDF) 기법으로 분석하였으며, 이미지 자료는 ‘지식적 요소(종류, 역사)’와 ‘실천적 요소(착용법, 만들기)’로 구분하여 시기별 변화를 비교하였다. 분석 결과, 중학교 교과서는 초기에는 바느질과 재단 등 실습 중심의 내용이 주를 이루었으나 점차 한복의 종류, 착용법, 예절 중심으로 전환되었고, 제7차 교육과정에서는 ‘전통’이라는 개념이 본격적으로 도입되었다. 한편, 고등학교 교과서에서는 제3⋅4차 교육과정에서 전통복 식문화가 독립 단원으로 제시되었으나, 제5⋅6차에서는 통합 단원 내 일부 항목 수준으로 축소되었으며, 제7차 교육과정에 이르러서는 독립 단원이 구성되지 않고 다양한 문화 속의 사례로만 제한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전통복식문화가 생활기술적 차원에서 점차 문화적⋅상징적 차원으로 재구성되었음을 보여준다. 본 연구는 기존의 목차 수준에 머무른 선행연구와 달리, 텍스트와 이미지를 동시에 분석함으로써 중⋅고등학교 교과서 내 전통복식문화의 구체적 변화 과정을 실증적으로 제시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전통복식문화 교육이 단순한 지식 전달을 넘어 학습자의 정체성과 문화 경험으로 연결되어야 함을 시사하며, 향후 교과 간 통합적 접근과 교수⋅학습 자료 개발의 필요성을 강조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nalyzed the contents of traditional dress culture presented in middle and high school textbooks from the 3rd to the 7th national curriculum in Korea. The purpose was to examine how its representation changed over time in relation to curriculum reforms. Textual data were extracted from textbooks through OCR scanning and analyzed using text-mining techniques, and images were categorized into knowledge-oriented elements (items, history) and practice-oriented elements (making, wearing) to identify diachronic changes. The results show that middle school textbooks shifted from practice-based content to knowledge-oriented content such as wearing methods and etiquette, and in the 7th curriculum the concept of “tradition” was explicitly introduced. High school textbooks, on the other hand, emphasized the history and making skills of Hanbok until the 6th curriculum but eliminated the entire section on traditional costume culture after the 7th curriculum.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traditional dress culture education moved from practice to knowledge and symbolic interpretation, with diverging trajectories between school levels. This study contributes by providing an integrated analysis of both textual and visual materials, offering empirical evidence of how curriculum reforms led to the reshaping and reduction of traditional dress culture education. The results highlight the need to reconstruct cultural education so that traditional dress is not perceived as static heritage but experienced as part of students’ cultural identity.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결론 및 논의
Declaration of Conflicting Interests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심준영. (2025).중등 교과서 한국 전통복식문화 교육의 재현 방식 변화: 텍스트와 시각자료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37 (3), 163-176

MLA

심준영. "중등 교과서 한국 전통복식문화 교육의 재현 방식 변화: 텍스트와 시각자료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37.3(2025): 163-17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