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영·유아를 위한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의 쟁점과 과제
이용수 88
- 영문명
- Issues and Tasks in Digital Literacy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 발행기관
-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 저자명
- 이수원
- 간행물 정보
- 『어린이문학교육연구』제25권 제3호, 473~487쪽, 전체 1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9.30
4,6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영·유아를 위한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에서의 쟁점과 과제를 논의하는 것이다. 태블릿이 보급된 이래 마우스나 키보드에 비하여 손가락 움직임에 의해 손쉽게 기기를 사용하게 됨에 따라 영·유아를 위한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의 접근성이 개선되었으나, 여전히 교육현장에서는 영·유아의 디지털 리터러시 지원 방안에 대한 정보가 부족한 상황이다. 이에 최근 해외연구를 토대로 영·유아를 위한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에서의 쟁점과 과제를 분석한 결과, 영·유아의 기술적 지원을 위한 교사의 디지털 스캐폴딩이 필요하며 문자를 넘어서서 영·유아들이 디지털 플랫폼에서 이미지, 음향효과, 텍스트 등의 복합양식 텍스트로 의미를 만들기 때문에 복합양식 텍스트가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과정에 포함되어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디지털 리터러시를 위한 새로운 교육 패러다임이 필요하며, 영·유아의 발달 적합성에 대한 고려 역시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결과는, 교육혁신이 디지털 기기를 추가하거나 환경 구축 그 자체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며, 이를 활용하는 영·유아에 대한 이해와 교육적인 지원 고민이 디지털 기반 교육혁신의 전제조건임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scuss issues and tasks in digital literacy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Since the spread of tablets, the accessibility of digital literacy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has improved as devices can be used more easily with finger movements compared to mice or keyboards. However, there is still a lack of information in the educational field on how to support digital literacy for them. Accordingly, as a result of analyzing recent studies in digital literacy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it is found that young children’s use of digital devices requires their teacher’s digital scaffolding. As young children create meaning multimodally by combining sounds, images, and text through digital platforms, it is necessary to include multimodal text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curriculum. Also, educational paradigm and developmental appropriateness needs to be considered for young children’s digital literacy. These results imply that either the digital device or environment itself does not guarantee educational changes; instead, it is a key to consider pedagogical strategies to support young children’s digital literacy based on their developmental appropriateness.
목차
Ⅰ. 서 론
Ⅱ.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의 쟁점과 과제
Ⅲ. 논의
참 고 문 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유아의 문제행동이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놀이몰입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앤서니 브라운(Anthony Browne)의 그림책에 나타나는 회복탄력성 내용 분석: 좌절과 극복의 과정을 바탕으로
- 저출산 시대, 영아 자녀와 놀이하는 다자녀 가정 직장인 어머니의 경험과 의미*
- 중국 유치원 교사의 디지털 역량 인식 분석
- 팬데믹 상황에서 자연친화교육에 대한 어린이집 원장의 인식, 실태 및 요구
- 기관유형에 따른 영유아교사 행복감, 직무스트레스, 놀이지원역량의 차이와 관계 연구
- 국제적 어린이 도서상과 문화막시즘
- 보육교사의 권리침해 경험과 권익보호에 관한 질적 탐구
-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유아기 부모 양육태도 연구동향 분석*
- 그림책에 나타난 대극의 경계로서의 사과의 상징성
- 문해환경이 유아의 읽기흥미, 상상력 및 이야기 구성능력에 미치는 영향
- 백희나의『장수탕 선녀님』과 『이상한 엄마』속 아동의 주체되기
- 영아 그림책을 활용한 교육효과에 관한 메타분석
- 유아교사 핵심역량 검사도구의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영유아의 놀이 중 교사의 모바일 알림장용 사진촬영의 경험과 방향성 탐색
- 예비유아교사의 인권감수성이 영유아권리존중인식에 미치는 영향: 인성 및 교직윤리의 매개효과*
- 조망수용에 기반한 유아 토론프로그램이 유아 사회성에 미치는 영향
- 스크립트를 활용한 우정 증진 활동이 유아의 또래유능성과 또래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 영·유아를 위한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의 쟁점과 과제
- 그림책에 나타난 놀이 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특수교육학연구 제60권 제1호 목차
- 특수교사의 의사소통역량과 소진의 관계에서 교사-부모 협력과 교사효능감의 순차적 매개효과
- 예비중등교사의 특수교육 관련 인식 척도 개발 및 타당성 검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