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백희나의『장수탕 선녀님』과 『이상한 엄마』속 아동의 주체되기
이용수 12
- 영문명
- Children’s becoming a subject in Baek Hee-na’s『Jangsutang Fairy』and 『Strange Mother』
- 발행기관
-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 저자명
- 구수연
- 간행물 정보
- 『어린이문학교육연구』제25권 제3호, 121~145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9.30
5,8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백희나의 『장수탕 선녀님』과 『이상한 엄마』를 라캉의 이론을 바탕으로 분석한 연구이다. 두 편의 그림책에는 공통적으로 선녀가 등장하며, 선녀- 아이- 엄마라는 인물 구조를 갖고, 아이가 아프다는 사건이 발생한다. 등장인물 중 아이는 모두 선녀와 특별한 시간을 갖게 되는데, 그림책 속 선녀와 아이들이 맺는 관계를 통해 선녀의 의미와 아동이 실현하는 환상이 무엇인지 구체적으로 탐색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Lacan의 이론에서 주요 개념과 주체 형성의 과정을 정리하고 이를 바탕으로 두 편의 그림책을 분석해 보았다. Lacan은 상상계와 상징계를 통하여 어머니와 아이의 관계, 아버지가 개입한 이후의 언어와 법의 체계 속으로 이행해 가는 과정을 구조적으로 설명하였다. 그림책은 텍스트와 그림 속 배경, 성격묘사, 초점, 시간과 움직임 등을 반영하여 해석학적 순환과정을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상상계와 상징계의 이중적 메타포로서의 목욕탕과 구름, 상상계 속 어머니로서의 선녀, 음식으로 상징되는 욕망, 아픔에서 회복을 통한 주체되기로 정리하였다. 아이들은 상상계 속 어머니의 욕망과 상징계 속 대타자가 부여한 욕망에서 소외된 주체는 채워질 수 없는 결핍을 갖게되고 환상 속에서 선녀라는 어머니와 결합을 통해 충만함을 느끼고 위로를 받는다. 연구 결과는 성인이 아동이 주체를 형성하는 심리적 과정을 이해하고 환상동화 속에서 결핍된 무의식을 충족하려는 것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nalyzes Baek Hee-na's 『Fairy of Jangsu-tang』 and 『Strange Mother』 based on Lacan's theory. In both episodes, a fairy appears in common, and the character structure is fairy-child-mother, and an incident occurs where the child is sick. Among the characters, the children all have a special time with the fairy, I wanted to specifically explore the meaning of the fairy of the two picture books and the fantasy that the children realize through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airy and the children. To this end, we summarized the main concepts and process of subject formation in Lacan's theory and analyzed two picture books based on this. Lacan structurally expla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mother and child through the Imaginary and Symbolic worlds, and the process of transitioning into the system of language and law after the father's intervention. In the picture book analysis, the text and pictures that make up the picture book were analyzed through a hermeneutical cycle process, reflecting the background, character description, focus, time, and movement.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summarized using a dual metaphor of the bathhouse and the cloud, representing the imaginary and the symbolic realms. In this framework, a fairy takes on the role of a mother in the imaginary world; desire is symbolized by food, and the process of becoming a subject occurs through recovery from illness. The subject, who is alienated from the mother's desire in the Imaginary world and the desire granted by the Other in the Symbolic world, has a deficiency that cannot be filled, and is comforted by feeling the fullness that comes from union with the mother, a fairy, in fantasy. Such an interpretation may help understand the psychological process by which children establish their own identity and satisfy their unconscious desires to make up for their deficiencies in fantasy fairy tales.
목차
Ⅰ. 서 론
Ⅱ. Lacan의 상상계, 실재계, 상징계와 주체
Ⅲ.『장수탕 선녀님』과『이상한 엄마』속 주체되기
Ⅳ. 결 론
참 고 문 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유아의 문제행동이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놀이몰입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앤서니 브라운(Anthony Browne)의 그림책에 나타나는 회복탄력성 내용 분석: 좌절과 극복의 과정을 바탕으로
- 저출산 시대, 영아 자녀와 놀이하는 다자녀 가정 직장인 어머니의 경험과 의미*
- 중국 유치원 교사의 디지털 역량 인식 분석
- 팬데믹 상황에서 자연친화교육에 대한 어린이집 원장의 인식, 실태 및 요구
- 기관유형에 따른 영유아교사 행복감, 직무스트레스, 놀이지원역량의 차이와 관계 연구
- 국제적 어린이 도서상과 문화막시즘
- 보육교사의 권리침해 경험과 권익보호에 관한 질적 탐구
-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유아기 부모 양육태도 연구동향 분석*
- 그림책에 나타난 대극의 경계로서의 사과의 상징성
- 문해환경이 유아의 읽기흥미, 상상력 및 이야기 구성능력에 미치는 영향
- 백희나의『장수탕 선녀님』과 『이상한 엄마』속 아동의 주체되기
- 영아 그림책을 활용한 교육효과에 관한 메타분석
- 유아교사 핵심역량 검사도구의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영유아의 놀이 중 교사의 모바일 알림장용 사진촬영의 경험과 방향성 탐색
- 예비유아교사의 인권감수성이 영유아권리존중인식에 미치는 영향: 인성 및 교직윤리의 매개효과*
- 조망수용에 기반한 유아 토론프로그램이 유아 사회성에 미치는 영향
- 스크립트를 활용한 우정 증진 활동이 유아의 또래유능성과 또래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 영·유아를 위한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의 쟁점과 과제
- 그림책에 나타난 놀이 분석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