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기관유형에 따른 영유아교사 행복감, 직무스트레스, 놀이지원역량의 차이와 관계 연구

이용수  20

영문명
A Study on the Differences and Relationships in Happiness, Job Stress, and Play Support Competence of Early Childhood Teachers According to Institution Type
발행기관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저자명
이정미 이지영
간행물 정보
『어린이문학교육연구』제25권 제3호, 147~174쪽, 전체 28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9.30
6,1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기관유형(유치원, 어린이집)에 따라 영유아교사 행복감, 직무스트레스, 놀이지원 역량 차이와 관계를 규명하여 기관유형을 반영한 교사교육의 방향성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서울, 경기, 인천지역 유치원과 어린이집에 근무하는 영유아교사 22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으며, 수집된 데이터는 독립적 T 검증, 상관분석을 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기관유형(유치원, 어린이집)에 따라 영유아교사 행복감에는 차이가 없었으나, 직무스트레스는 어린이집 교사가 유치원 교사보다 원장 및 교사 스트레스가 높게 나타났다. 이에 반해 놀이지원역량은 유치원 교사가 어린이집 교사보다 높게 나타났다. 둘째, 기관유형(유치원, 어린이집)에 따른 교사 행복감과 놀이지원역량과의 관계에서 유치원 교사와 어린이집 교사 모두 행복감이 높을수록 놀이지원역량이 높게 나타났다. 또한 기관 유형(유치원, 어린이집)에 따른 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놀이지원역량과의 관계에서는 상관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두 기관 교사 모두 원아활동과 관련된 직무스트레스와 놀이지원역량은 하위요인별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교사의 행복감, 직무스트레스, 영유아 놀이지원역량은 유치원 교사와 어린이집 교사 간에 서로 상이한 결과를 보이므로, 기관유형에 따른 교사교육의 방향성을 제시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differences and relationships in happiness, job stress, and play support competency among early childhood teachers based on the type of institution they work in (kindergarten or daycare center) and to provide direction for teacher education. A survey was conducted on 225 early childhood teachers employed in kindergartens and daycare centers in Seoul, Gyeonggi, and Incheon region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independent t-tests and correlation analysis. The study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ly, there was no disparity in teacher happiness based on the type of institution (kindergarten or daycare center). However, regarding job stress, daycare center teachers reported experiencing higher stress from principals and colleagues compared to kindergarten teachers. Moreover, kindergarten teachers demonstrated greater play support competency than daycare center teachers. Secondly, concer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 happiness and play support competency based on the type of institution, both kindergarten and daycare center teachers indicated that higher happiness levels were linked to better play support competency. Furthermore, no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teachers' job stress and play support competency based on the type of institution. Nonetheless,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in sub-factors related to job stress and play support competence in both types of institutions. This study highlights that happiness, job stress, and play competency vary between kindergarten and daycare center teachers, and presents the direction of teacher education according to the type of institution.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결론 및 논의
참 고 문 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정미,이지영. (2024).기관유형에 따른 영유아교사 행복감, 직무스트레스, 놀이지원역량의 차이와 관계 연구. 어린이문학교육연구, 25 (3), 147-174

MLA

이정미,이지영. "기관유형에 따른 영유아교사 행복감, 직무스트레스, 놀이지원역량의 차이와 관계 연구." 어린이문학교육연구, 25.3(2024): 147-17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