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보육교사의 권리침해 경험과 권익보호에 관한 질적 탐구
이용수 33
- 영문명
- A qualitative study on the experience of infringement on childcare teachers’ rights and protection of their rights
- 발행기관
-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 저자명
- 이선미 이대균
- 간행물 정보
- 『어린이문학교육연구』제25권 제3호, 187~218쪽, 전체 3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9.30
6,6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아동의 권리가 강조되는 만큼 보육교사에 대한 권리보장도 필요하므로, 본 연구는 보육교사의 권리증진을 위한 정책적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보육교사 권리침해의 경험과 권익보호 방안에 대한 심층적 내용을 연구하기 위해 보육교사 10명을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여 심층면담과 포커스 그룹면담 등의 연구 기법을 적용한 질적 탐구이다. 수집한 자료를 분석한 결과 첫째, 보육교사의 권리침해 고충으로 보육활동 간섭, 사생활 침해, 폭언, 폭행, 직장내 괴롭힘, 인권침해 등이 있었다. 둘째, 보육교사들은 이러한 권리침해에 대처하기 위한 노력으로 대화, 건의, 인내 및 순응, 그만둘 각오로 대항, 이직 등이 있었다. 셋째, 보육교사들은 그들의 권익보호를 위한 요구로 보육교사의 자격 강화, 보육교사의 권리 법제화, 동등한 보수와 전용 연금이 있었다. 특히 보육교사들은 학부모의 부정적 태도에 의한 영유아의 장애 문제가 심각해짐에 따라서, 학부모의 동의 없이 영유아의 장애검사를 청구할 수 있는 권한이 법률로 규정되기를 요구한 것은 보육현장에서 중요한 가치와 의미가 있다고 생각했다. 더불어 국가고시 제도를 도입해서 선발된 보육교사는 전문적 교육을 담당하고, 무시험 단기 교육자는 전문양육을 담당하는 것에 대한 제안은 보육의 질적 향상을 위한 정책적 문제로 대두되는 기준의 단기 교육자와 상생하는 방안이 될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As children's rights are emphasized, it is also necessary to guarantee the rights of childcare teachers.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provide basic policy data for promoting childcare teachers' rights. To study the in-depth contents of the experience of infringement of the rights of childcare teachers and the protection of rights, 10 childcare teachers were selected as research participants. Qualitative inquiry was conducted by applying research techniques such as in-depth interviews and focus group interviews.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ollected data, first, there was interference with childcare activities, violation of privacy, abuse, assault, harassment in the workplace, and violation of human rights due to the violation of the rights of childcare teachers. Second, to cope with such rights violations, childcare teachers had conversations, made suggestions, showed patience and compliance, and demonstrated resistance to quitting, and turnover. Third, the demands of childcare teachers to protect their rights and interests included strengthening the qualifications of childcare teachers, legislating the rights of childcare teachers, equal pay, and dedicated pensions. In particular, as the problem of infants' disability became serious due to the negative attitude of the parents, the teachers thought that it was an important value and had meaning in the field of child care that the authority to request the infant's disability test without the consent of the parents was required by law. In addition, the suggestion that the childcare teachers selected by introducing the national examination system are responsible for professional education and the non-examination short-term educators are responsible for professional nurturing suggests that it can be a way to coexist with short-term educators as a policy issue for improving the quality of childcare.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 고 문 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유아의 문제행동이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놀이몰입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앤서니 브라운(Anthony Browne)의 그림책에 나타나는 회복탄력성 내용 분석: 좌절과 극복의 과정을 바탕으로
- 저출산 시대, 영아 자녀와 놀이하는 다자녀 가정 직장인 어머니의 경험과 의미*
- 중국 유치원 교사의 디지털 역량 인식 분석
- 팬데믹 상황에서 자연친화교육에 대한 어린이집 원장의 인식, 실태 및 요구
- 기관유형에 따른 영유아교사 행복감, 직무스트레스, 놀이지원역량의 차이와 관계 연구
- 국제적 어린이 도서상과 문화막시즘
- 보육교사의 권리침해 경험과 권익보호에 관한 질적 탐구
-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유아기 부모 양육태도 연구동향 분석*
- 그림책에 나타난 대극의 경계로서의 사과의 상징성
- 문해환경이 유아의 읽기흥미, 상상력 및 이야기 구성능력에 미치는 영향
- 백희나의『장수탕 선녀님』과 『이상한 엄마』속 아동의 주체되기
- 영아 그림책을 활용한 교육효과에 관한 메타분석
- 유아교사 핵심역량 검사도구의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영유아의 놀이 중 교사의 모바일 알림장용 사진촬영의 경험과 방향성 탐색
- 예비유아교사의 인권감수성이 영유아권리존중인식에 미치는 영향: 인성 및 교직윤리의 매개효과*
- 조망수용에 기반한 유아 토론프로그램이 유아 사회성에 미치는 영향
- 스크립트를 활용한 우정 증진 활동이 유아의 또래유능성과 또래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 영·유아를 위한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의 쟁점과 과제
- 그림책에 나타난 놀이 분석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