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예비유아교사의 인권감수성이 영유아권리존중인식에 미치는 영향: 인성 및 교직윤리의 매개효과*
이용수 50
- 영문명
- The influence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human rights sensitivity on their recognition of children’s rights: The mediating role of personality and professional ethics
- 발행기관
-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 저자명
- 김희영 김태영
- 간행물 정보
- 『어린이문학교육연구』제25권 제3호, 289~307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9.30
5,0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예비유아교사의 인권감수성, 인성, 교직윤리가 영유아권리존중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인권감수성과 영유아권리존중인식의 관계에서 인성 및 교직윤리의 매개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예비유아교사 111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자료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첫째, 예비유아교사의 인권감수성은 영유아권리존중인식에 영향을 미쳤으며 인권감수성의 하위변인의 영향력은 책임지각, 결과지각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예비유아교사의 인성은 영유아권리존중인식에 영향을 미쳤으며 인성의 하위변인의 영향력은 교직 인성, 보편적 인성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예비 유아교사의 교직윤리는 영유아권리존중인식에 영향을 미쳤으며 교직윤리의 하위변인의 영향력은 영유아윤리, 사회윤리 순으로 나타났다. 넷째, 인권감수성과 영유아권리존중인식의 관계에서 인성, 교직윤리는 각각 부분 매개효과를 나타냈다.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의 영유아권리존중인식을 증진하기 위한 요소를 탐색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nvestigates the impact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human rights sensitivity, personality, and professional ethics on their recognition of children’s rights. It also aims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personality and professional ethics between human rights sensitivity and recognition of children’s rights. For this study, survey data from 111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human rights sensitivity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influenced the recognition of children’s rights, and the influence of the sub-variables of human rights sensitivity was in the order of responsibility perception and result perception. Second, the personality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influenced the recognition of children’s rights, and the influence of the sub-variables of personality was in the order of professional personality and universal personality. Third, the professional ethics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influenced the recognition of children’s rights, and the influence of the sub-variables of professional ethics was in the order of early childhood ethics and social ethics. Fourth, personality and professional ethics partially mediate between human rights sensitivity and recognition of children’s rights. This study is significant because it provides basic data to explore elements to promote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recognition of children’s rights.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 고 문 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유아의 문제행동이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놀이몰입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앤서니 브라운(Anthony Browne)의 그림책에 나타나는 회복탄력성 내용 분석: 좌절과 극복의 과정을 바탕으로
- 저출산 시대, 영아 자녀와 놀이하는 다자녀 가정 직장인 어머니의 경험과 의미*
- 중국 유치원 교사의 디지털 역량 인식 분석
- 팬데믹 상황에서 자연친화교육에 대한 어린이집 원장의 인식, 실태 및 요구
- 기관유형에 따른 영유아교사 행복감, 직무스트레스, 놀이지원역량의 차이와 관계 연구
- 국제적 어린이 도서상과 문화막시즘
- 보육교사의 권리침해 경험과 권익보호에 관한 질적 탐구
-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유아기 부모 양육태도 연구동향 분석*
- 그림책에 나타난 대극의 경계로서의 사과의 상징성
- 문해환경이 유아의 읽기흥미, 상상력 및 이야기 구성능력에 미치는 영향
- 백희나의『장수탕 선녀님』과 『이상한 엄마』속 아동의 주체되기
- 영아 그림책을 활용한 교육효과에 관한 메타분석
- 유아교사 핵심역량 검사도구의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영유아의 놀이 중 교사의 모바일 알림장용 사진촬영의 경험과 방향성 탐색
- 예비유아교사의 인권감수성이 영유아권리존중인식에 미치는 영향: 인성 및 교직윤리의 매개효과*
- 조망수용에 기반한 유아 토론프로그램이 유아 사회성에 미치는 영향
- 스크립트를 활용한 우정 증진 활동이 유아의 또래유능성과 또래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 영·유아를 위한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의 쟁점과 과제
- 그림책에 나타난 놀이 분석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