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영아 그림책을 활용한 교육효과에 관한 메타분석
이용수 37
- 영문명
- A Meta-analysis of the Educational Effects of Picture Books for Infants
- 발행기관
-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 저자명
- 신진영 오수현 이희진 장찬주 박희숙
- 간행물 정보
- 『어린이문학교육연구』제25권 제3호, 241~265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9.30
5,8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영아 그림책을 활용한 교육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메타분석을 실시하였다. 2006년부터 2024년 상반기까지 발표된 53편의 논문을 대상으로 총 88개의 효과크기를 산출하였다. 연구결과, 전체 효과크기는 1.34로 큰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종속변인으로는 사회성, 정서, 인지, 신체, 언어 발달 순으로 효과크기가 모두 크게 나타났다. 조절변인으로는 글 있는 그림책, 학위논문, 통합적 접근, 그림책 수는 6권∼10권 이하, 출판년도는 2021년∼2024년, 실험처치 횟수는 11회∼20회 이하, 실험처치 기간은 8주∼14주 이하, 실험집단 인원은 21명 이상이 효과크기가 크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영아 그림책을 활용한 교육이 전인적 발달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을 시사한다. 따라서 어린이집 현장에서 교사들이 영아 그림책의 중요성과 가치를 인식하고 실천할 수 있도록, 영아 발달 특성을 고려한 그림책 통합활동 프로그램 개발과 교사 지원이 필요하다.
영문 초록
This study conducted a meta-analysis to examine the educational effects of using picture books for infants. A total of 88 effect sizes were calculated for 53 articles published from 2006 to the first half of 2024. The results showed that the overall effect size was 1.34, indicating a significant effect. The dependent variables were social, emotional, cognitive, physical, and language development, in that order. As for the moderating variables, picture books with text, thesis, integrated approach, number of picture books (6 to 10 or fewer), year of publication (2021 to 2024), number of experimental treatments (11 to 20 or fewer), duration of experimental treatment (8 to 14 weeks or fewer), and number of participants (21 or more) showed significant effect sizes. These results suggest that education using infant picture books positively affects holistic development.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integrated picture book activity programs that take into account the characteristics of infant development and support teachers so that they can recognize and practice the importance and value of infant picture books in daycare centers.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 고 문 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유아의 문제행동이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놀이몰입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앤서니 브라운(Anthony Browne)의 그림책에 나타나는 회복탄력성 내용 분석: 좌절과 극복의 과정을 바탕으로
- 저출산 시대, 영아 자녀와 놀이하는 다자녀 가정 직장인 어머니의 경험과 의미*
- 중국 유치원 교사의 디지털 역량 인식 분석
- 팬데믹 상황에서 자연친화교육에 대한 어린이집 원장의 인식, 실태 및 요구
- 기관유형에 따른 영유아교사 행복감, 직무스트레스, 놀이지원역량의 차이와 관계 연구
- 국제적 어린이 도서상과 문화막시즘
- 보육교사의 권리침해 경험과 권익보호에 관한 질적 탐구
-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유아기 부모 양육태도 연구동향 분석*
- 그림책에 나타난 대극의 경계로서의 사과의 상징성
- 문해환경이 유아의 읽기흥미, 상상력 및 이야기 구성능력에 미치는 영향
- 백희나의『장수탕 선녀님』과 『이상한 엄마』속 아동의 주체되기
- 영아 그림책을 활용한 교육효과에 관한 메타분석
- 유아교사 핵심역량 검사도구의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영유아의 놀이 중 교사의 모바일 알림장용 사진촬영의 경험과 방향성 탐색
- 예비유아교사의 인권감수성이 영유아권리존중인식에 미치는 영향: 인성 및 교직윤리의 매개효과*
- 조망수용에 기반한 유아 토론프로그램이 유아 사회성에 미치는 영향
- 스크립트를 활용한 우정 증진 활동이 유아의 또래유능성과 또래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 영·유아를 위한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의 쟁점과 과제
- 그림책에 나타난 놀이 분석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