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중국 유치원 교사의 디지털 역량 인식 분석

이용수  17

영문명
Analysis of Awareness of Digital Competency of Chinese Kindergarten Teachers
발행기관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저자명
탕징원 배율미
간행물 정보
『어린이문학교육연구』제25권 제3호, 403~423쪽, 전체 21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9.30
5,3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중국 유치원 교사의 디지털 역량에 대한 인식을 살펴보고, 교사 변인에 따른 디지털 역량에 대한 인식 차이를 조사하는 것이었다. 본 연구를 위해 중국 쓰촨성(四川省)에 소재한 유치원에 근무하는 교사 261명을 최종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고, 연구도구로는 김교령(2021)의 연구에서 개발한 설문지를 수정․보완하여 사용하였다. 자료수집을 위해 중국 온라인 리서치 앱인 문권성(问卷星)과 연구자가 직접 기관을 방문하여 설문지를 배부하고 회수하였다. 자료분석은 중국 유치원 교사의 디지털 역량에 대한 인식 정도를 알아보기 위해 기술통계분석과 교사 배경 변인에 따른 디지털 역량에 대한 인식 차이와 집단 간의 차이를 분석하기 위해 일원변량분석과 Scheffé 사후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국 유치원 교사들의 디지털 역량에 대한 인식 정도는 보통 이상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중국 유치원 교사의 배경 변인인 연령, 교사 경력, 최종학력, 담당 학급, 교육 경험, 그리고 교사연수에 따른 디지털 역량 전체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은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중국 유치원 교사의 디지털 역량 강화를 위한 교사 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중국과 한국 유아교사를 대상으로 디지털 역량 관련 비교 연구 수행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perception of digital competency among Chinese kindergarten teachers and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in perception of digital competency according to teacher variables. For this study, 261 teachers working at kindergartens located in Sichuan, China, were selected as the final research subjects, and a questionnaire developed in a study of Korean early childhood teachers by Kim Kyo-ryeong (2021) was used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 of these teachers' digital competencies. To collect data, a researcher with an online research app, Moon Kwon-sung (问卷星), visited the institution in person, distributed and collected the questionnaire. One-way variance analysis (ANOVA) and Scheffé post-test were conducted to analyze the difference in perception of digital competency according to teacher variables and the difference between groups according to Chinese kindergarten teachers' perceptions of digital competency. The summary of the research results is as follows. First, the degree of awareness of digital competency among Chinese kindergarten teachers was above average, and the degree of awareness of professional competency, teaching and learning competency, and learner competency, sub-areas of digital competency, was also above average. Second, there was a difference in teachers' perception of the overall digital competence according to teacher age, teacher experience, final academic ability, class in charge, educational experience, and teacher training, which are background variables of Chinese kindergarten teachers. However, there was no difference in teachers' perception of the entire digital competence according to the type of working institution. This study aims to provide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teacher education programs to strengthen the digital capabilities of Chinese kindergarten teachers and comparative studies related to digital capabilities for Chinese and Korean early childhood teachers.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 고 문 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탕징원,배율미. (2024).중국 유치원 교사의 디지털 역량 인식 분석. 어린이문학교육연구, 25 (3), 403-423

MLA

탕징원,배율미. "중국 유치원 교사의 디지털 역량 인식 분석." 어린이문학교육연구, 25.3(2024): 403-42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