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스크립트를 활용한 우정 증진 활동이 유아의 또래유능성과 또래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19
- 영문명
- The Effects of Friendship Promotion Activity Using Scripts on Children’s Peer Competence and Peer Interaction
- 발행기관
-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 저자명
- 이선영
- 간행물 정보
- 『어린이문학교육연구』제25권 제3호, 219~239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9.30
5,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스크립트를 활용한 우정 증진 활동이 유아의 또래유능성과 또래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만 5세 유아 실험집단 24명, 비교집단 26명을 대상으로 8주간 12차시 스크립트를 활용한 우정 증진 활동을 실시하였으며, 실험 전후에 또래유능성과 또래상호작용에 대한 검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공변량분석(ANCOVA)을 실시하여 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 또래유능성은 실험집단과 비교집단 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하위요인인 사교성, 친사회성, 주도성에서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또래상호작용에서는 하위요인인 놀이상호작용과 놀이방해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나, 놀이단절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본 연구결과 스크립트를 활용한 우정 증진 활동은 유아의 또래유능성과 또래상호작용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유아의 우정 증진을 위해 활용할 교육적 가치가 있음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friendship promotion activities using scripts on children's peer competence and peer interaction. The study involved 24 aged 5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26 in the control group. The intervention, consisting of friendship promotion activities using scripts, was implemented over 8 weeks. Peer competence and peer interaction were assessed before and after the intervention, an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Analysis of Covariance (ANCOVA)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The results indicat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peer competence between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Specifically, significant improvements were observed in the sub-domains of sociability, prosocial behavior, and initiative. Regarding peer interaction,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the sub-factors of play interaction and play interference, though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 in play disconnection. These findings suggest that script-based friendship promotion activities positively impact children's peer competence and interactions. The study highlights the educational value of such activities for fostering friendships among young children.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 고 문 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유아의 문제행동이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놀이몰입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앤서니 브라운(Anthony Browne)의 그림책에 나타나는 회복탄력성 내용 분석: 좌절과 극복의 과정을 바탕으로
- 저출산 시대, 영아 자녀와 놀이하는 다자녀 가정 직장인 어머니의 경험과 의미*
- 중국 유치원 교사의 디지털 역량 인식 분석
- 팬데믹 상황에서 자연친화교육에 대한 어린이집 원장의 인식, 실태 및 요구
- 기관유형에 따른 영유아교사 행복감, 직무스트레스, 놀이지원역량의 차이와 관계 연구
- 국제적 어린이 도서상과 문화막시즘
- 보육교사의 권리침해 경험과 권익보호에 관한 질적 탐구
-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유아기 부모 양육태도 연구동향 분석*
- 그림책에 나타난 대극의 경계로서의 사과의 상징성
- 문해환경이 유아의 읽기흥미, 상상력 및 이야기 구성능력에 미치는 영향
- 백희나의『장수탕 선녀님』과 『이상한 엄마』속 아동의 주체되기
- 영아 그림책을 활용한 교육효과에 관한 메타분석
- 유아교사 핵심역량 검사도구의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영유아의 놀이 중 교사의 모바일 알림장용 사진촬영의 경험과 방향성 탐색
- 예비유아교사의 인권감수성이 영유아권리존중인식에 미치는 영향: 인성 및 교직윤리의 매개효과*
- 조망수용에 기반한 유아 토론프로그램이 유아 사회성에 미치는 영향
- 스크립트를 활용한 우정 증진 활동이 유아의 또래유능성과 또래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 영·유아를 위한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의 쟁점과 과제
- 그림책에 나타난 놀이 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제29권 제2호 목차
- 보육시설종사자의 감정노동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유아교사를 위한 기후변화 교육프로그램 개발과 적용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