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영유아의 놀이 중 교사의 모바일 알림장용 사진촬영의 경험과 방향성 탐색

이용수  17

영문명
Study of Directions and Experiences on Teachers’ Taking pictures for Mobile Notice Board During the Play of Young Children
발행기관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저자명
강현경
간행물 정보
『어린이문학교육연구』제25권 제3호, 267~288쪽, 전체 22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9.30
5,4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유아의 놀이 중 교사의 사진촬영 경험이 전반적으로 어떻게 나타나고 있는지 또 이것이 앞으로 어떠한 방향으로 나아가야 할지에 대한 교사의 인식을 알아보고 그 방향성을 탐색해보고자 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전라북도 K시 2곳의 어린이집 교사 6명이었고, 개별면담과 집단면담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영유아의 놀이 중 교사의 사진촬영 경험은 크게 긍정적인 것과 부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는데, 긍정적인면에서 교사는 사진촬영이 부모와의 소통을 돕고 놀이관찰도 심화시킨다고 보았고, 부정적인면에서 교사는 사진촬영으로 유아의 놀이를 방해하고 과중한 업무로 부담을 느낀다고 인식하였다 둘째, 사진촬영의 나아갈 방향에 대한 교사의 인식에 근거하여 볼 때 사진 촬영의 방향성은 ‘구체적 방안에 대한 실천적 노력, 놀이와 사진촬영 간 영향에 대한 교사의 인식 고취, 그리고 놀이중심의 변화에 발맞춘 부모교육의 필요성’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는 놀이와 사진촬영 간의 관계 속에서 영유아 놀이에 대한 교사의 인식을 새롭게 하고 놀이중심 교육과정의 성공적인 현장 안착에 밑거름이 될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ed to explore the approaches and experiences of teachers taking photos for a mobile notice board while young children were at play. To this end, 6 day-care center-teachers in K city were interviewed 24 times individually or in a group. As a result, first, teachers’ experiences of taking pictures during young children’s play were seen as positive and negative things. On the positive side, teachers recognized that taking pictures had a good impact on sharing information about young children’s play or their activities between parents and teachers, and it made teachers observe young children’s play diligently. On the negative side, teachers thought taking pictures interrupted the children’s play, and the work stressed out teachers. Second, when it comes to future directions, the directions were analyzed like the following three: the practical effort about specific ways, raising teachers’ awareness about the impact of taking pictures, and the need for educating parents according to the change in the educational program. This study could be helpful to let teachers recognize newly young children’s play relevant to taking pictures and to settle down a play-centered curriculum.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 고 문 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강현경. (2024).영유아의 놀이 중 교사의 모바일 알림장용 사진촬영의 경험과 방향성 탐색. 어린이문학교육연구, 25 (3), 267-288

MLA

강현경. "영유아의 놀이 중 교사의 모바일 알림장용 사진촬영의 경험과 방향성 탐색." 어린이문학교육연구, 25.3(2024): 267-28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