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팬데믹 상황에서 자연친화교육에 대한 어린이집 원장의 인식, 실태 및 요구
이용수 14
- 영문명
- A study on daycare center directors’ perception, actual conditions, and needs for nature-friendly education in a pandemic situation
- 발행기관
-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 저자명
- 박경희
- 간행물 정보
- 『어린이문학교육연구』제25권 제3호, 447~472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9.30
5,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코로나19 상황에서 자연친화교육에 대한 어린이집 원장의 인식, 실태 및 요구를 파악하여 유아교육현장에서의 자연친화교육의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는 D광역시 어린이집 원장 30명을 대상으로 자연친화교육에 대한 인식과 현황, 개선 방안에 대한 의견을 설문조사와 면담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본 연구에 참여한 어린이집 원장들은 자연친화교육으로 유아교육 방향 전환의 필요성에 대해 매우 깊이 공감하고 있었다. 둘째, 실제 자연친화교육은 ‘유아 안전 및 통제, 활동 보조인력의 부족, 공간 부족, 부모 우려, 프로그램의 다양성 부족’의 순으로 어려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자연친화교육의 선결 요건은 ‘프로그램 개발, 원장과 교사의 신념과 의지, 유아교육기관 주변 환경 개선, 학부모의 인식 개선, 원장 및 교사교육 기회의 확대’ 순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팬데믹을 경험한 어린이집 원장들의 의견을 수집, 분석하여 자연친화교육의 방향성을 탐색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지속가능발전을 지향하는 자연친화교육으로 나아가기 위해서는 흥미 위주의 단순한 자연체험활동의 수준을 넘어 유아들의 생명 연대감과 환경 감수성을 지원하는 교사들의 실천적 역량 함양의 중요성이 제안되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plored ways to provide nature-friendly education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by identifying the perceptions, actual conditions, and demands of daycare center directors regarding nature-friendly education in a pandemic situation. For this purpose, this study collected and analyzed survey and interview data on the awareness and status of nature-friendly education and opinions on improvement plans from daycare center directors in a metropolitan city.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daycare center directors who participated in this study deeply sympathized with the need to change the direction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toward nature-friendly education. Second, in reality, nature-friendly education was found to be difficult to apply in the following order: ‘control and safety of young children, lack of activity assistants, lack of space, parental concerns, and lack of program diversity.’ Third, the prerequisites for nature-friendly education were ‘program development, the beliefs and will of directors and teachers, improvement of the environment around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improvement of parents’ awareness, and expansion of opportunities for education for directors and teachers.’ This study is significant as it explored the direction of nature-friendly education among daycare center directors who experienced the COVID-19 pandemic. This study suggests that to advance toward nature-friendly education focused on sustainable development, it is important to enhance teachers' practical abilities to foster young children's connection with life and environmental awareness, going beyond merely offering nature activities centered on interest.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 고 문 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유아의 문제행동이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놀이몰입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앤서니 브라운(Anthony Browne)의 그림책에 나타나는 회복탄력성 내용 분석: 좌절과 극복의 과정을 바탕으로
- 저출산 시대, 영아 자녀와 놀이하는 다자녀 가정 직장인 어머니의 경험과 의미*
- 중국 유치원 교사의 디지털 역량 인식 분석
- 팬데믹 상황에서 자연친화교육에 대한 어린이집 원장의 인식, 실태 및 요구
- 기관유형에 따른 영유아교사 행복감, 직무스트레스, 놀이지원역량의 차이와 관계 연구
- 국제적 어린이 도서상과 문화막시즘
- 보육교사의 권리침해 경험과 권익보호에 관한 질적 탐구
-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유아기 부모 양육태도 연구동향 분석*
- 그림책에 나타난 대극의 경계로서의 사과의 상징성
- 문해환경이 유아의 읽기흥미, 상상력 및 이야기 구성능력에 미치는 영향
- 백희나의『장수탕 선녀님』과 『이상한 엄마』속 아동의 주체되기
- 영아 그림책을 활용한 교육효과에 관한 메타분석
- 유아교사 핵심역량 검사도구의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영유아의 놀이 중 교사의 모바일 알림장용 사진촬영의 경험과 방향성 탐색
- 예비유아교사의 인권감수성이 영유아권리존중인식에 미치는 영향: 인성 및 교직윤리의 매개효과*
- 조망수용에 기반한 유아 토론프로그램이 유아 사회성에 미치는 영향
- 스크립트를 활용한 우정 증진 활동이 유아의 또래유능성과 또래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 영·유아를 위한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의 쟁점과 과제
- 그림책에 나타난 놀이 분석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